지방선 연체율 8%까지 올라 위기
인터넷은행 확장에 경쟁력도 고전
이른바 우량 저축은행을 뜻하는 ‘88클럽’(자기자본비율 8%이상·고정이하여신비율 8%이하) 저축은행 수가 지난해 절반으로 줄어든 가운데 지방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8%까지 오르는 등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인한 건전성 악화에 영업 경쟁력도 약해지면서 안팎으로 고전하는 모습이다.1일 저축은행업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광주·전남·전북 지역의 저축은행 연체율은 8.1%로 그 전해(3.5%)보다 4.6% 포인트 증가했다. 대구·경북·강원과 대전·충남·충북 지역 저축은행도 연체율이 각각 7.8%를 기록했다. 두 지역 모두 1년 전 4.2%에서 3.6% 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말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6.55%로 나타났는데 서울(6.0%)과 부산·울산·경남(6.4%)을 제외하곤 연체율이 7~8%대에 이른 것이다. 고정이하여신(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부실채권)비율이 8%를 넘지 않는 지역 역시 서울(7.2%)과 부산·울산·경남(7.4%) 두 곳뿐이었다.
‘88클럽’에 든 저축은행의 수는 겨우 41곳으로 1년 사이 34개 저축은행이 제외됐다. 88클럽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8% 이상이면서 고정이하여신비율은 8% 이하라는 의미로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건전성이 더 위태로운 것은 부동산 관련 대출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광주·전남·전북 지역 7개 저축은행의 전체 대출 가운데 부동산 관련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37.3%로 부동산 관련 연체율은 10.7%에 달했다.
여기에 더해 저축은행보다 금리 경쟁력이 있으면서도 모바일을 기반으로 전국 단위 영업이 가능한 인터넷전문은행의 확장도 지방 저축은행들의 설 자리를 더욱 좁게 만든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서 큰 저축은행들이 지방의 중소 저축은행을 인수하도록 규제를 완화했지만 인터넷전문은행이 있는 상황에서 수도권도 아니고 특정 지역에서만 영업할 수 있는 저축은행을 인수한들 뭐 하겠느냐”고 반문했다.
한편 저축은행중앙회는 부동산 PF 사업장 정상화를 위한 2차 펀드를 1640억원 규모로 확대 조성하기로 했다. 펀드는 애초 800억~1000억원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었으나 18개 저축은행이 참여하면서 규모가 커졌다.
2024-05-02 1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