꺾이는 연준 ‘피벗’ 기대… 한은, 긴축 압력 커져 고심

꺾이는 연준 ‘피벗’ 기대… 한은, 긴축 압력 커져 고심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2-12-11 20:36
업데이트 2022-12-12 06: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새달 예상밖 빅스텝 기조 확산
양국 금리차 1.5%P 이상 될 수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연준 건물에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준은 이날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리기로 결정했다. 지난 6·7·9월에 이어 연속 네 번째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 포인트 인상) 단행이다. 2022.11.2 AFP 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연준 건물에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준은 이날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리기로 결정했다. 지난 6·7·9월에 이어 연속 네 번째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 포인트 인상) 단행이다. 2022.11.2 AFP 연합뉴스
강도 높은 긴축을 이어 온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긴축 속도를 완화하는 쪽으로 ‘피벗’(pivot·정책 전환)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점점 꺾이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다음달에도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48.9%로 0.25% 포인트 인상할 가능성(40.6%)보다 앞섰다. 1주일 전에는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이 46.1%로 0.50% 포인트 인상 가능성(44.9%)보다 높았으나 역전된 것이다. 13~14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0.50% 포인트 인상할 것이 기정사실화한 가운데, 내년에도 비교적 ‘매파’적인 기조를 이어 갈 것이라는 긴장감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물가상승률이 7%대로 연준의 목표치(2%대)보다 여전히 한참 높은 데다 11월 고용 지표와 생산자물가(PPI) 등의 지표가 시장 전망을 웃돌면서 긴축을 이어 갈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실제로 미국 국채 2년물(4.264%)과 10년물(3.421%)의 금리 격차도 지난 7일 0.843% 포인트로 41년 만에 최대폭으로 벌어지는 등 경기침체의 경고음이 곳곳에서 울리고 있다.

연준이 긴축의 고삐를 놓지 않을 경우 한국은행이 받는 압력도 커진다. 그간 시장에서는 한은이 경기 둔화를 고려해 최종 기준금리를 연 3.5%까지 인상하는 선에서 마무리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을 실어 왔으나 연준이 최종 기준금리를 5.0% 이상으로 끌어올릴 경우 우리나라와의 금리 역전 격차는 1.5% 포인트 이상으로 벌어질 수 있다. 외화 유출 등을 막기 위해 최종 기준금리 수준이 3.5%보다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김소라 기자
2022-12-12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