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유동성 파티’ 지속… 실물경제·금융시장 괴리 최악

코로나에 ‘유동성 파티’ 지속… 실물경제·금융시장 괴리 최악

김승훈 기자
입력 2022-03-10 04:02
업데이트 2022-03-10 05: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GDP 대비 빚 비율 26.5%P 높아져
외환·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심각
‘실물’ 위축 막는 금융완화 조치에
가계·기업 자산 투자용 부채 늘려

코로나19 이후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의 괴리 현상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유동성 파티’가 지속되면서 실물경제 성장 대비 가계빚이 대폭 늘어난 결과다.

9일 한국은행의 ‘최근 우리나라 금융 사이클의 상황 및 특징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뚜렷해진 금융 사이클과 실물 사이클 간 비동조화 경향은 코로나19 이후 더욱 심화했다.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간 동조화 지수는 1990~1999년 0.74에서 2000~2008년 0.69로 감소한 데 이어 2009~2021년 3분기엔 0.49로 줄었다.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신용(빚) 비율은 코로나19 기간인 2019년 4분기부터 2021년 3분기까지 26.5% 포인트 높아졌다. 외환위기(1997년 2분기~1999년 1분기) 13.4% 포인트, 신용카드 사태(2001년 1분기~2002년 4분기) 8.9% 포인트, 글로벌 금융위기(2007년 4분기~2009년 3분기) 21.6% 포인트 등 과거 경제위기 때보다 훨씬 높았다.

한은은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의 괴리는 유동성 상황, 자산 가격 변화 등에 주로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이후 GDP 등 실물경제 성장보다 자산 투자를 위한 가계·기업 신용이 더 크게 확대돼 금융 불균형의 골이 더욱 깊어졌다는 의미다.

과거 평균 대비 신용 증가가 심화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실질신용갭률’도 코로나19 이후 단기간 내 빠르게 확대됐다. 2021년 3분기 말 실질신용갭률은 5.1%로 신용카드 사태(2002년 4분기) 3.4%,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 4분기) 4.9%를 웃돌았다.

한은은 “코로나19 이후 실물경기 위축을 막기 위한 금융 지원·완화 조치 등이 시중 유동성 확대와 더불어 가계·기업 부채를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코로나19 이후 더 심화한 금융과 실물의 괴리 현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2022-03-10 22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