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사무직 등 중숙련 일자리 0.63% 감소

코로나 이후 사무직 등 중숙련 일자리 0.63% 감소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1-12-27 17:10
업데이트 2021-12-28 0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택배·배달원 등 저숙련 일자리 3.9% 증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반복적 업무가 많은 사무·판매직, 기능원, 조립원 등 중숙련 일자리가 저숙련·고숙련 일자리보다 더 크게 줄어드면서 일자리 양극화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코로나19 이후 고용 재조정 및 거시경제적 영향’ 보고서에서 “취업자 수가 코로나19 위기 이전으로 회복하는 과정에서 고용 재조정이 활발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숙련 일자리는 2014~2019년 연평균 0.22% 감소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이후인 지난해부터 올해까지는 감소폭이 0.63%로 커졌다. 자동화로 사람의 일자리를 대체하기 쉽고, 비용 절감의 편익이 커지면서 일자리가 줄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필수가 된 재택근무가 어렵다는 중숙련 일자리의 특성도 반영됐다.

지난 9월 말 기준 고숙련 일자리는 2019년 4분기와 비교해 0.5% 증가했다. 육체노동 비중이 높은 서비스업, 농림어업, 단순노무 등 저숙련 일자리는 같은 기간 3.9%나 늘었다. 보고서는 “경기 침체기에 저숙련 일자리가 증가한 것은 이례적”이라며 “비대면 서비스 확대로 택배원, 배달원 등을 중심으로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1-12-28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