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서울 점포 매출 4조 8162억원 감소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서울 점포 매출 4조 8162억원 감소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21-05-15 08:00
업데이트 2021-05-15 0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 영향으로 홍대 거리가 주말 점심시간임에도 불구하고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영향으로 홍대 거리가 주말 점심시간임에도 불구하고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서울 점포 매출액이 전년 대비 4조 8162억원 줄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연구원은 15일 ‘코로나19 확산이 서울 지역에 미친 경제적 손실’ 보고서를 냈다. 2019~2020년 40주간 신한카드의 점포 매출액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서울 점포 매출액은 전년 대비 6.2% 감소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한식(약 1조 5264억원·14.1%)의 매출액 감소 규모가 가장 컸다. 전체 63개 업종 중 기타요식(-10.7%), 의복·의류(-10.6%), 학원(-12.6%) 등 50개 업종이 감소했다. 반면 약국(20.6%), 일반병원(5.5%), 정육점(21%) 등은 매출이 늘었다.

매출이 가장 크게 감소한 지역은 마포구 서교동으로 40주간 2241억원이 줄었다. 이어 서대문구 신촌동(-2195억원), 중구 명동(-2075억원) 순으로 상업시설이 집중돼 있고 관광객이 많은 지역의 매출 감소가 두드러졌다.

반면 영등포구 여의동(974억원), 강서구 발산1동(617억원) 등 주거 중심지역에서는 매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점업의 연평균 폐업률은 2019년 0.21%에서 지난해 0.19%로 0.02%포인트 감소했다. 보고서를 쓴 주재욱 연구위원은 “그렇다고 음식점업의 상황이 좋다는 의미는 아니다”라며 “주인만 바뀌는 영업자의 지위 승계로 창업이 전년과 변화가 거의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빌린 대출금을 갚아야 해 폐업을 고민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보고서는 업종별 피해 규모를 고려한 차등 지원을 실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주 연구위원은 “시는 유동인구, 업종별 매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고려해 피해 업종에 대한 손실 보상과 재난지원금 등 피해 소상공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