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 살아난다…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소비심리 살아난다…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유대근 기자
입력 2021-03-26 11:17
업데이트 2021-03-26 1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비자심리지수 3개월 연속 상승
주택가격 전망은 3개월째 내림세
이미지 확대
3·1절인 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의 백화점 ‘더현대 서울’에는 연휴를 즐기는 방문객이 몰려 인산인해를 이뤘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3·1절인 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의 백화점 ‘더현대 서울’에는 연휴를 즐기는 방문객이 몰려 인산인해를 이뤘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코로나19 탓에 1년여 간 위축됐던 소비 심리가 점차 살아나고 있다. 이미 지표상으로는 코로나 이전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신 접종에 대한 기대감 등이 반영된 결과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3월 소비자동향조사(3월 9∼16일) 결과에 따르면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0.5로 한 달 전보다 3.1포인트 올랐다. 3개월 연속 상승하며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전인 지난해 1월(104.8) 이후 처음 100을 넘었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등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다. 100보다 낮으면 장기평균(2003∼2020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비관적이라는 뜻이고, 반대로 높으면 낙관적이라는 의미다.

세부 지수별로 보면 가계수입전망지수를 뺀 나머지 5개 지수가 장기 평균선에 근접했다. 현재생활형편지수(89)와 생활형편전망지수(95)는 한 달 전보다 각각 2포인트, 1포인트 올랐다. 또, 소비지출전망지수(107)는 3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1월(110)에 근접한 수준이다. 현재경기판단지수(72)와 향후경기전망지수(93)는 각각 9포인트, 3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가계수입전망지수(96)만 전 달과 같았다.

이는 소비 심리가 평시 수준으로 회복했다는 얘기다. 한은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완화하면 바로 소비를 더 많이 하려는 심리는 커진 분위기”라며 CCSI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봤다.

CCSI에는 들어가지 않는 지수 중 주택가격전망지수(124)는 한 달 사이 5포인트 내렸다. 올해 1월부터 석 달 연속 내림세다. 한국은행 측은 “정부의 대도시권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일환인 신규공공택지 추진 계획 발표로 상승 기대심리가 약화됐다”고 원인을 분석했다.

물가수준전망지수(146)와 현재가계부채지수(104) 2포인트씩 올랐고 현재가계저축지수(93)와 가계저축전망지수(95)는 나란히 1포인트씩 상승했다.

임금수준전망지수(112)와 가계부채전망지수(99)는 1월 수준을 유지했다.

금리수준전망지수(114)는 한 달 사이 10포인트나 올랐다.상승 폭만 따졌을 때 2016년 12월(+12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 또 취업기회전망지수(84)는 4포인트 상승했다.

1년 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평가한 물가인식과 1년 뒤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내다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1%로, 모두 0.1%포인트씩 올랐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