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이 더 키운 ‘인생역전의 꿈’

불황이 더 키운 ‘인생역전의 꿈’

나상현 기자
입력 2020-09-16 22:46
업데이트 2020-09-17 0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반기 복권 판매 2.6조 ‘역대 최대’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여파로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있지만 ‘불황형 상품’으로 불리는 복권은 역대 최대 규모로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發 침체에 전년 대비 11% 증가

16일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복권 총판매액은 2조 6208억원으로, 전년 대비 11.1% 증가했다. 관련 실적을 공개한 2005년 이래 상반기 기준으로 가장 큰 규모다. 증가율로 따지면 2012년(17.7%) 이후 최고치다. 복권은 경기가 나쁠수록 일확천금을 기대하고 구매자가 늘어나는 대표적인 ‘불황형 상품’으로 꼽힌다.

세부적으로 올 상반기 로또 판매액은 2조 3082억원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인쇄식 복권(1863억원), 결합식 연금복권(855억원), 전자식 복권(408억원)이 뒤를 이었다.

●당첨금 올린 연금복권 판매 68% 급증

특히 최근 개편 작업을 거친 연금복권 판매액은 전년 대비 68.2%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복권위는 20년에 걸쳐 지급하는 월 당첨금을 500만원에서 700만원으로 올린 ‘연금복권 720+’를 지난 4월 출시했다. 총당첨금도 12억원에서 16억 8000억원으로 올라갔다. 10명에게 10년간 월 100만원씩 지급하는 ‘보너스 추첨’도 새로 추가했다. 기존 연금복권은 로또에 비해 관심도가 떨어져 지난해 전체 발행량의 31.4%만 판매됐지만, 당첨금이 상향되면서 선호도도 크게 늘어난 것이다.

복권위 관계자는 “경제 규모가 늘어나는 추세에 맞춰 복권 판매량도 함께 늘었다고 볼 수 있다”면서 “연금복권 상품 개편에 따라 당첨금이 늘어 구매자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판매량이 늘어난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0-09-17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