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91만 가구서 반려동물 856만 마리 키운다

전국 591만 가구서 반려동물 856만 마리 키운다

김태이 기자
입력 2020-04-28 11:26
업데이트 2020-04-28 1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농식품부 국민의식조사…반려견이 반려묘보다 2배 이상 많아

이미지 확대
‘산책해 본 지가’
‘산책해 본 지가’ 21일 대구시 동구 각산동 한 반려동물호텔에서 반려견이 사람 뒤를 쫓고 있다. 코로나19 우려에 사회적 거리 두기가 확산하면서 반려견 바깥 활동도 크게 줄었다고 반려동물호텔 관계자는 설명했다. 2020.3.21 연합뉴스
지난해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591만 가구가 856만 마리의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펫팸족 1천만명 시대’에서 실시된 ‘2019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민 5천명에게 반려동물 양육 여부, 동물등록 여부 등을 물은 후 그 결과를 전국 2천238만 가구 기준으로 환산해 결과를 도출했다.

조사 결과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591만 가구로, 전년 511만 가구보다 80만 가구 늘었다.

개는 495만 가구에서 598만 마리를, 고양이는 192만 가구에서 258만 마리를 기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동물 등록에 참여한 사람은 반려동물 소유자의 67.3%로, 전년 50.2%보다 17.1%포인트 증가했다.

반려동물의 입양 경로는 ‘지인 간 거래’라는 답변이 61.9%로 가장 많았고, 이어 ‘펫숍 등 반려동물 영업자 이용’이라는 응답이 23.2%를 차지했다.

‘동물보호시설을 통한 입양’은 9%에 불과해 여전히 유기견이나 유기묘의 입양이 활성화돼 있지 않음을 드러냈다.

동물보호시설에서 유기동물을 입양할 의사가 있는 사람도 26.2%에 불과했다.

입양을 어려워하는 주요 이유로는 ‘질병 및 행동에서의 문제 우려(43.1%)’, ‘높은 연령(16.9%)’, ‘방법·절차를 몰라서(12.3%)’ 등이 많았다.

반려동물의 외출 시 목줄·인식표 착용, 배설물 수거 등 준수사항을 지키고 있다는 응답자는 반려동물 소유자의 62.9%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약 74.8%는 반려동물 소유자에 대한 의무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47.6%는 동물학대 행위에 대한 현행 처벌 수준이 약하다고 생각했다.

안유영 동물복지정책과장은 “반려동물 양육 가구와 반려동물 마릿수가 증가함에 따라 동물등록 및 안전관리 의무 준수가 중요해지고 있다”며 “반려동물 소유자는 사람과 동물이 함께 사는 문화 조성을 위해 관련 의무와 에티켓을 잘 지켜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