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농식품 수출액 33억 달러…사상 최대

올해 상반기 농식품 수출액 33억 달러…사상 최대

입력 2017-07-26 11:06
업데이트 2017-07-26 1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드보복’에 對中 수출 계속 줄어

일본과 아세안 지역으로의 수출 호조가 이어지면서 올 상반기 농식품 수출 실적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6일 농림축산식품에 따르면 1∼6월 농식품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6.5% 증가한 33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1월부터 상승세를 유지한 농식품 수출은 5월에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감소했지만, 6월 한 달간 전년 동월 대비 4.7% 증가하며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국가별 수출 실적을 보면 일본, 아세안으로의 수출이 연초부터 10% 이상 높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한국 농식품 최대 해외 시장인 일본으로의 수출액은 토마토와 커피 조제품 수출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한 6억3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태국, 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지역으로의 수출액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3% 증가한 6억100만 달러였다.

특히 태국과 인도네시아로의 라면 수출은 지난해 대비 473%, 399% 늘어나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대만으로는 배추, 딸기, 멜론 등 신선식품 수출이 확대되며 수출액이 1억6천만 달러를 기록, 전년 동기 대비 19.4% 증가했다.

중국으로의 수출액은 사드보복 여파로 3월 이후 매달 감소세가 지속하면서 상반기 전체로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4% 줄어든 4억3천500만 달러에 그쳤다.

하지만 라면(71.8%↑), 맥주(94.6%↑) 등의 대중(對中) 수출은 어려운 여건하에서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가금 육류와 과실류 등의 수출이 부진해 전체 신선식품 수출액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4.5% 감소한 4억8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김치의 경우 기존 수출국인 일본으로의 수출은 정체됐지만, 영국·네덜란드 등 유럽지역으로의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2% 증가하며 수출 확대 가능성을 보였다.

가공식품은 라면 수출 호조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한 28억2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농식품부는 하반기에는 수출이 확대되고 있는 일본·아세안 등의 분위기를 이어가는 한편, 대중국 수출 회복과 에스닉 식품시장·온라인 시장 개척을 통한 대미 수출 확대를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