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구경 못한 노년 절반… “72세까지 일하고 싶다”

연금 구경 못한 노년 절반… “72세까지 일하고 싶다”

입력 2017-07-25 22:48
업데이트 2017-07-26 0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7년 고령층 부가조사

55~79세 작년보다 4.2% 늘어
연금 받아도 한달 52만원 고작
최저임금 135만원 한참 모자라
평균 49.1세 은퇴… 절반 재취업
“입에 풀칠 먼저” 경력 단절 28%

우리나라 실버 세대 가운데 공적 연금이든 사적 연금이든 최근 1년간 연금을 받은 사람은 절반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금을 받는 사람도 한 달에 손에 쥐는 돈은 52만원에 불과했다. 열 명 중 세 명은 자신이 주로 했던 일과 관련없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 실버 세대의 ‘경력 단절’도 심각한 셈이다. 일하는 목적은 절반 이상이 생활비 충당이었다. 이 때문에 “더 일하고 싶다”는 고령층이 1년 전보다 더 늘었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은 25일 이런 내용의 ‘2017년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부가조사는 해마다 5월 이뤄진다. 고령층(55∼79세) 인구는 1291만 6000명으로 1년 전보다 4.2% 증가했다. 취업 경험이 있는 55∼64세 중 생애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의 평균 근속 기간은 15년 3.8개월로 1년 전보다 4.7개월 증가했다. 주된 일자리를 그만둘 당시 평균 연령은 49.1세로 1년 전과 같았다. 이 가운데 재취업에 성공한 사람(52.6%)은 절반을 약간 넘었다.

지난 1년간 연금(공적연금+개인연금)을 받은 사람의 비율은 45.3%(584만 7000명)로 1년 전보다 1.2% 포인트 늘었다.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1년 전보다 1만원 오른 52만원이지만 여전히 한 달 최저임금(135만원)에 턱없이 못 미친다.

금액별로 보면 10만∼25만원 미만 수령자(46.8%)가 가장 많았다. 25만∼50만원 미만은 26.2%, 50만∼100만원 미만은 13.6%, 100만∼150만원 미만은 4.0%였다. 150만원 이상은 8.7%였다. 앞으로 일하기를 원하는 고령층의 비율은 62.4%(805만 5000명)로 1년 전보다 1.2% 포인트 상승했다. 일하고 싶은 이유로는 절반 이상(58.3%)이 ‘생활비에 보탬’을 꼽았다. ‘일하는 즐거움’(34.4%), ‘무료해서’(3.3%), ‘사회가 필요로 함’(2.3%), ‘건강 유지’(1.6%)는 그 뒤를 이었다. 이들은 평균 72세까지 일을 더 하고 싶어 했다.

지난 1년간 경험한 일자리가 생애 주된 일자리와 관련이 없는 경우는 28.3%였다. ‘입에 풀칠을 하기 위해’ 닥치는 대로 일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얘기다. 지난 1년간 직업능력 개발 훈련에 참여한 고령층은 13.5%(174만 6000명)에 불과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은퇴 이후 기대수명이 길어지면서 과거보다 더 많은 수입이 필요해졌다”면서 “고령층 경력 단절을 줄이려면 좀더 쉽고 많은 재취업 교육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7-26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