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체감경기 9분기만에 최고치…회복 기지개 켜나

제조업 체감경기 9분기만에 최고치…회복 기지개 켜나

입력 2017-07-05 09:48
업데이트 2017-07-05 09: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상의 3분기 경기전망지수 94…기준치에는 12분기째 미달

국내 제조업체의 체감경기 전망이 2년여 만에 가장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회장 박용만)는 최근 전국 2천2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3분기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94를 기록, 전분기보다 5포인트나 상승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 1분기에 68을 기록한 이후 2분기 연속 상승곡선을 그린 것으로, 2015년 1분기(97) 이후 9분기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그러나 지난 2014년 3분기(103) 이후 12분기 연속 기준치(100)을 넘어서지는 못했다. BSI가 100 이상이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보다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상의는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추경 편성 등으로 내수심리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했다”며 “지난해 11월부터 8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수출 증가세 역시 긍정적 요인”이라고 말했다.

다만 내수 회복세가 견고하지 못한 데다 가계부채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 것은 ‘불안요인’이라면서 “본격적인 경기회복세를 예단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3분기 수출기업 경기전망지수는 104로 기준치를 넘겼지만, 내수부문 BSI는 전분기(87)보다는 올랐으나 92에 그쳐 부정적인 전망이 많았다.

지역별로는 광주와 전남이 각각 115로 가장 높았고 ▲서울 111 ▲경기 107 ▲제주 107 ▲인천 105 ▲강원 102 등도 기준치를 웃돌았다.

반면 경남(75), 충남(77), 대구(78), 울산(84), 부산(84), 경북(85), 전북(88), 충북(92), 대전(95) 등은 기준치에 못 미쳤다.

상의가 신규 채용 계획이 있는 제조업체를 추려 신규채용 BSI를 조사한 결과는 103으로, 기준치를 넘어섰다.

업종별로는 정유·석유화학이 142에 달했으며 식음료(115)와 기계(103), IT·가전(101) 등이 기준치를 상회했다. 섬유·의류(79)와 철강(87), 비철금속(94), 자동차(96) 등은 낮았다.

신규채용 BSI는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을 작년 하반기에 비해 늘릴 것인지 줄일 것인지에 대해 설문해 집계한 것이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세계 경제의 업턴(upturn) 훈풍이 불고 있는 만큼 모처럼 맞이하는 경기회복의 모멘텀을 잘 살려야 한다”면서 “경기를 본격 회복궤도에 올려놓는 일과 중장기 현안을 해결하는 일을 병행해서 추진할 때”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