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 80% “수능영어 절대평가 긍정적이지만 사교육비는 동일”

학부모 80% “수능영어 절대평가 긍정적이지만 사교육비는 동일”

입력 2017-06-15 12:43
업데이트 2017-06-15 12: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사대상 50% “수능 모든 영역 절대평가 전환에 찬성”

학부모들이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영어 과목의 절대평가 전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영어 사교육비는 이전과 동일하게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부모 절반은 새 정부가 논의 중인 수능 전 영역 절대평가 전환에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이 이달 7∼12일 학부모 663명을 대상으로 수능 절대평가 도입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학부모 57.6%는 수능 영어 절대평가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고 15일 밝혔다.

‘부정적’이라는 응답은 22.2%, ‘잘 모르겠다’는 20.2%로 나타났다.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학부모들은 그 이유(복수응답)로 ‘학습 부담 감소’(41.6%)와 ‘영어 사교육비 경감’(40.6%)을 꼽았다.

절대평가에 부정적인 학부모는 이유(복수응답)로 ‘변별력 감소’(48.3%)와 ‘사교육비 부담 지속’(42.9%)을 들었다.

실제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에도 자녀의 영어 사교육비 지출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응답자의 78.6%가 영어 사교육비가 ‘이전과 동일하다’고 밝혔으며 ‘지출이 늘었다’는 비율(11.9%)이 ‘줄었다’(9.5%)보다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대입 수능 전 영역을 절대평가로 바꾸려는 새 정부의 구상에 대해서도 학부모 절반(50.7%)은 ‘긍정적’이라고 대답했다. ‘잘 모르겠다’가 27.9%, ‘부정적’은 21.4%로 조사됐다.

문재인 대통령 공약에는 새 교육과정(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2021학년도 수능을 절대평가로 바꾸겠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 때문에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에서도 영어뿐 아니라 전 영역의 절대평가 전환이 유력하다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수능 전 영역 절대평가에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학부모들은 그 이유(복수응답)로 50.0%가 ‘학생들 간 경쟁이 완화될 것 같아서’를 꼽았다.

이어 ‘수능 고득점만을 위한 획일화된 교육 방식을 개편할 수 있어서’(41.1%), ‘학생들의 학습 성취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 같아서’(39.0%), ‘사교육비가 줄어들 것 같아서’(19.9%)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학부모 중 59.2%는 ‘수능 변별력이 낮아질 것 같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