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대 용산 유엔사 부지, 금융사 vs 대기업 입찰전

1조대 용산 유엔사 부지, 금융사 vs 대기업 입찰전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7-06-14 22:34
업데이트 2017-06-14 2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입지 좋아 감정가액만 8000억

건설사 “규제·자금 문제 고민”
4만 4935㎡… 26일 경쟁 입찰


감정평가액만 8000억원에 이르는 서울 용산 유엔사 부지(지도) 입찰 경쟁이 금융사와 대기업 그룹사 간의 대결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낙찰가액이 1조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상대적으로 자금조달 능력이 떨어지는 건설사들이 쉽게 수주전에 뛰어들기 어려운 상황이다.
14일 건설·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오는 26일 유엔사에 대한 경쟁 입찰을 한다. 용산구 이태원동 22-34번지 일대 5만 1762㎡ 규모인 유엔사 부지는 축구장 7개 크기로, 미군기지가 평택으로 옮기면서 빈터로 남아 있다. 매각 대상은 공원과 녹지 등 무상공급 면적을 뺀 4만 4935㎡다. 지난달 LH가 개최한 투자설명회에는 건설사와 개발사, 금융기관 관계자 등 300여명이 참석할 정도로 관심이 높다.

이태원관광특구와 대사관이 밀집돼 있는 지역으로 남산 2·3호 터널과 반포대교를 통해 도심이나 강남으로 쉽게 이동할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반면 제약 조건도 많다. 남산 경관 보호를 위해 건물 높이 규제가 해발 90m로 제한되고, 업무·상업·호텔 등 기타시설을 30% 이상 지어야 한다. 주거시설을 지을 때에도 전용 85㎡ 이상 대형으로 780가구만 지을 수 있다.

이런 단점에다 낙찰가가 1조원을 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건설사들은 한발 빼는 분위기다. 낙찰이 되더라도 수익이 크게 남지 않거나 손해를 본다면 ‘승자의 저주’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입찰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현대건설은 “2019년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데 그때까지 부동산 경기가 계속 좋을지 알 수 없다”면서 “내부에서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 제기가 있어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자금력이 풍부하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에서 강점을 지닌 금융사들은 적극적으로 사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 개발 관계자는 “여의도 MBC 사옥 입찰 등에도 하나금융그룹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면서 “이번에도 비슷한 양상이 벌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통 대그룹들도 유통시설과 호텔 등을 운영하기에 충분히 매력적인 만큼 입찰에 참여할 준비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사가 들어간다면 시공을 위한 파트너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7-06-15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