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연말정산…국민연금 보험료·연금받는 부모는?

돌아온 연말정산…국민연금 보험료·연금받는 부모는?

입력 2015-12-21 07:06
업데이트 2015-12-21 07: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서 근로자 자신이 그간 낸 국민연금 보험료와 노령연금을 받는 부모에 대해 공제받을 수 있는지에 관심에 쏠린다.

21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연말정산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바뀌었지만, 국민연금 보험료는 예년과 마찬가지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다만, 직장가입자는 자신이 실제 낸 보험료 납부액에 대해서만 공제받을 수 있다. 회사에서 부담한 절반의 보험료는 공제대상이 아니다.

국민연금 직장가입자의 보험료는 절반은 자신이, 나머지 절반은 사용자가 부담한다.

만약 지역가입자라면 자신이 보험료를 모두 내기에 전액 공제받을 수 있다.

의무가입 대상이 아니지만, 국민연금에 임의 가입한 아내 등 배우자를 대신해 낸 보험료도 공제받을 수 없다.

그렇지만, 실직 등으로 납부 예외를 신청해 보험료를 내지 않은 기간의 보험료를 추가로 내거나 미납기간의 보험료를 내도 납부연도를 기준으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취업 전에 지역가입자로 낸 국민연금 보험료도 근로소득에서 공제받을 수 있다.

특히 부모가 국민연금을 받고 있더라도 소득과 연령조건을 충족하면 부양가족으로 등록해 기본공제를 받을 수 있다. 부양가족공제는 연말정산에서 소득공제를 받을 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이다.

부모의 ‘연간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이고 만 60세 이상(장애인이나 국가유공자는 나이 제한 없음)이면 연말정산 때 기본공제대상이 될 수 있다.

연간소득금액은 종합소득금액(근로소득, 연금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이자배당소득), 퇴직소득, 양도소득 등을 포함한다. 즉 이 모든 소득을 합쳐서 100만원 이하여야 한다는 말이다.

구체적으로 연금소득만으로 좁혀서 보면, 만 60세 이상의 부모가 다른 소득은 없고 오직 2002년 1월 1일 이후 가입기간에 따른 노령연금소득만 있다고 할 때, 그 1년치 금액(과세대상 연금소득)이 약 516만원을 넘지 않으면 기본공제자가 될 수 있다. 연간 노령연금소득이 100만원 이하가 아니고 516만원 이하인 이유는 연간 노령연금액 전액에 세금을 매기는 게 아니라 350만원을 기본공제로 먼저 빼고, 여기에 다시 40%를 추가 공제해서 과세하기 때문이다.

연금종류중에서 장애연금과 유족연금은 ‘비과세소득’으로, 또 2001년 이전 가입기간에 따른 노령연금은 ‘제외소득’으로 인정받아 과세대상 연금액 자체에 들어가지 않기에 소득공제의 대상이 아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