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부진·메르스에 경기전망 세월호 때보다 낮아

수출부진·메르스에 경기전망 세월호 때보다 낮아

입력 2015-06-29 11:03
업데이트 2015-06-29 1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7월 기업경기실사지수 84.3 그쳐

수출 부진과 메르스 확산의 영향으로 7월 종합경기 전망치가 84.3에 그쳐 세월호 사고 여파 당시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2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7월 종합경기 전망치는 84.3으로 기준선 100에 못 미쳤다.

이번 수치는 글로벌금융위기(2009년 1월 52.0), 유럽재정위기(2012년 12월 82.0) 때보다는 높으나 세월호 사고 여파(2014년 8월 91.6) 때보다는 낮았다.

종합경기 전망치를 업종별로 보면 경공업(74.6), 비제조업(84.2), 중화학공업(87.2) 모두 기준선 100에 크게 밑돌았다.

구체적으로는 의약품제조업(50.0),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61.9), 펄프·종이 및 가구(64.3)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 업종에서 부정적인 전망이 나왔다.

전망치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내수(84.1), 수출(92.9), 투자(95.6), 자금 사정(95.2), 재고(103.6·100 이상은 재고과잉), 고용(95.8), 채산성(89.8) 등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이었다.

전망치가 하락한 데에는 대외 불확실성과 수출 부진 지속, 메르스 확산과 경제심리 위축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홍성일 전경련 재정금융팀장은 “이번 조사에서는 부정응답 비중이 전월 대비 10% 가량 증가함에 따라 지수가 급격히 낮아졌다”면서 “수출 부진 지속과 메르스 여파가 기업심리에도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 실적치는 79.9로 역시 기준치 100을 하회했다.

경공업(73.1), 비제조업(76.8), 중화학공업(85.0) 모두 기준치 아래였으며 펄프·종이 및 가구(57.1), 도·소매(61.5), 출판 및 기록물 제작(64.3) 등 업종 대부분에서 타격을 입었다.

6월 실적치는 내수(82.0), 수출(91.2), 투자(97.5), 자금사정(94.1), 재고(105.9), 고용(96.0), 채산성(86.2) 등 모든 부문에서 부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