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조+α 대책에 증권가 “긍정적이지만 효과 제한적”

15조+α 대책에 증권가 “긍정적이지만 효과 제한적”

입력 2015-06-25 16:15
업데이트 2015-06-25 16: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경기를 살리기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 15조원 이상의 재정을 보강하는 방안을 25일 꺼냈다.

이에 대해 증권시장은 대체로 긍정적인 재료가 될 것이라면서도 그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선 규모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여서 이번 재정 보강이 경기 침체 우려를 잠재울 수 있을지에 대해 의견이 엇갈린다.

실제 이날 코스피는 정부의 정책 발표에도 그리스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 등의 영향을 받아 전날보다 0.47포인트(0.02%) 내린 2,085.06으로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는 7.04포인트(0.94%) 오른 753.66으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인 배경으로는 이번 경기 부양책이 수출주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심리도 깔려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일단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이 나왔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며 “증시에도 호재로 작용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과 시행 시기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수출 기업들은 환율 흐름이 바뀌어야 이익이 개선될 수 있기 때문에 이번 부양책이 대형 수출주들의 주가 상승에 큰 도움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팀장은 향후 15조원대의 자금이 어디에 쓰일지도 중요하며, 국회 통과 절차 등으로 추경안의 시행 시점이 미뤄지면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날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추경과 기금, 공공기관 투자 등으로 구성된 ‘15조원+α’ 규모의 재정보강책을 제시했으나 구체적인 추경 규모는 당과 협의를 거쳐 내달 초쯤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오현석 삼성증권 투자전략센터장은 “시장에서는 20조원 이상 규모의 추경을 기대하기도 한 만큼 다소 실망하는 분위기도 있다”며 “추경 편성 자체는 긍정적이지만 경기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증권주 등 일부 업종에는 이번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발표가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비과세 해외전용펀드의 한시적 도입 등에 따른 것이다.

이날 증권업종은 2.53% 상승했다.

이번 부양책으로 성장률 전망치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다고 해도 지난 3~4월과 현재의 증시 여건이 같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강현철 NH투자증권 투자전략부장은 “15조원대라는 규모는 시장 눈높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대책에 큰 의미를 두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그는 “’어닝 서프라이즈’ 기대로 코스피가 2,200선에 근접했던 3~4월에 비해 기업 이익 전망이 하향조정되고 있다”며 “코스피가 전고점을 돌파하기는 어려우며 긍정적으로 봐도 2,100선 초반에 머물 것”이라고 예측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