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에 ‘더 빨리 편하게’ 배달서비스 갈수록 진화

고객에 ‘더 빨리 편하게’ 배달서비스 갈수록 진화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5-06-24 23:48
업데이트 2015-06-25 01: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비자가 택배 접수·운송장 작성 OK

‘그동안 없던 배송 서비스도 만들고 배송 속도는 더욱 빠르게, 송장 쓰는 시간도 줄여라.’ 유통·택배업계가 더 나은 배송서비스로 한 명의 고객이라도 더 끌어모으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24일 CJ대한통운에 따르면 업계 최초로 개인이 직접 택배 접수와 운송장 출력을 할 수 있는 택배 무인 접수대인 ‘셀프 데스크’를 개발해 운영한다.

현재 서울대 기숙사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다음달쯤 백화점이나 쇼핑몰, 대학 기숙사 등 대규모로 택배가 접수되는 곳들을 대상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CJ대한통운 관계자는 “그동안 20~30개씩 대량으로 택배를 보낼 때 하나하나 송장을 직접 손으로 써야 해 번거로운 것은 물론 빠른 배송에도 어려움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이 밖에도 간편결제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편의점 CU는 배달전문업체인 ‘부탁해’와 손잡고 다음달부터 배달 서비스를 시작한다. 다음달 시작되는 CU멤버십 혹은 부탁해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과 웹사이트에 접속해 1만원 이상 구매를 하면 최대 40분 이내에 원하는 곳에서 상품을 받을 수 있다. 배달 이용료는 1500~3000원 정도다.

CU 관계자는 “고령화가 먼저 진행된 일본에서는 노인들이 거동이 불편해 밖에 잘 나가지 못하는 점을 감안해 일찌감치 편의점에서 배달 서비스를 시작해 좋은 반응을 얻기도 했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편의점 배달 서비스는 맨처음 세븐일레븐에서 지난해 말 서울 중구 소공점 등 4개 점포를 대상으로 시작했다. 쿠팡은 배송 시간을 더욱 줄였다. 이달 안에 경기 고양시 일산 지역을 대상으로 기저귀 등 유아용품을 2시간 내 배송하는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쿠팡 관계자는 “현재 8개 물류센터를 운용하고 있고 앞으로 8개 더 확충하기 때문에 빠른 배송이 가능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업계가 배송 서비스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소비자가 가장 원하는 서비스가 가격 할인 외에도 ‘빠르고 편리하게 원하는 물건을 받는 것’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유통채널이 다양해졌지만 상품 구성은 비슷하기 때문에 결국 고객 서비스의 차별점은 배송에 있다”면서 “앞으로 배송 부문에 대한 투자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5-06-25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