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SK 합병 반대”… 삼성 영향 촉각

국민연금 “SK 합병 반대”… 삼성 영향 촉각

주현진 기자
주현진 기자
입력 2015-06-24 23:48
업데이트 2015-06-25 0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주가치 훼손 우려” 의결권 행사 결정

SK 지분 7.19%를 보유한 국민연금이 SK C&C와 SK 간 합병에 반대를 선언해 재계에 파문이 일고 있다.

국민연금은 24일 의결권행사전문위원회를 열고 SK 합병안을 심의한 결과 합병 비율 등이 SK의 주주 가치를 훼손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해 반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합병 비율이 최태원 회장 일가 지분이 높은 SK C&C에 유리하다”는 일부 지적을 받아들인 데 따른 것이다. SK C&C와 SK는 지난 4월 1대0.73의 비율로 합병을 결의했다.

지분 구조로 볼 때 국민연금이 반대해도 실제 주총에서 SK 합병이 무산될 가능성은 낮다. 최 회장 등 총수 일가의 지분이 SK는 31.87%, SK C&C는 43.45%에 달하기 때문이다. SK그룹은 “세계적인 의결권 자문 기구인 ISS와 기업지배구조연구원이 찬성 의견을 냈고, 대다수 주주가 찬성을 표명하는 만큼 합병은 그대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계에는 국민연금의 결정에 불만을 표하는 목소리가 높다. 한 관계자는 “미국계 헤지펀드인 엘리엇 매니지먼트(이하 엘리엇)가 시세차익을 노리고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반대하는 상황에서 시장이 모두 반기는 SK 합병을 반대한 연금의 결정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삼성물산 지분 10.15%를 가진 국민연금이 반대할 경우 삼성 합병건은 무산될 공산이 크다. 삼성물산 주총에서 합병안이 통과되려면 최소 47%의 찬성 지분을 확보해야 하지만 대주주와 KCC 지분 등을 합한 삼성 우호 지분은 아직 19.95% 정도다. 국민연금이 SK 합병 반대 의사를 밝힌 뒤 삼성 합병안 무산을 우려한 듯 이날 제일모직 주가는 전날보다 3.86% 내린 채 장을 마쳤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국민연금이 삼성물산 합병 건에 대해 찬성표를 던질 것으로 보는 의견이 많다.

업계 관계자는 “SK는 지주사와 사실상의 지주회사가 합병하면서 지배구조를 단순화하는 작업이고,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은 사업회사 간 합병으로 사업 시너지 제고가 중심이라는 점에서 성격이 다르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삼성물산 주주 명부를 확보한 엘리엇은 합병 반대표 모으기 절차에 공식 착수했다. 엘리엇은 삼성물산 주주들에게 “제일모직과의 합병이 불공정한 만큼 엘리엇이 의결권을 대리행사할 수 있도록 위임해달라”고 공시했다. 주총은 다음달 17일이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06-25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