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인양 업체 선정 시 가격보단 기술 중시”

“세월호 인양 업체 선정 시 가격보단 기술 중시”

입력 2015-05-21 13:34
업데이트 2015-05-21 13: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양수산부는 세월호 인양업체 선정을 위한 국제입찰공고를 22일 내기로 하고 구체적인 조건을 21일 공개했다.

해수부는 이번 입찰에서 미수습자 9명의 유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인양업체에 세월호 선체원형을 온전하게 인양할 수 있는 기술과 잔존유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기본적으로 요구하기로 했다.

다음은 이철조 세월호 선체인양추진단 부단장 등 해수부 관계자들 일문일답.

-- 인양업체 평가는 어떻게 이뤄지나.

▲ 기술평가 점수(80%)와 가격평가 점수(20%)를 합산한다. 배점 비율을 보면 가격보다 기술을 중시했다. 특히 기술평가 점수가 만점의 85%에 못미치는 업체는 최저가격을 써내더라도 인양업체로 선정될 수 없다. 즉, 총점을 100점으로 환산했을 때 기술점수가 68점이 안 되면 탈락이다. 우수한 기술을 동원하면 가격이 당연히 오르게 된다. 이 때문에 기술평가에서 일정 점수를 받지 못하면 가격이 아무리 싸더라도 인양업체로 선정될 수 없게 했다.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본 것은 이번 인양이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현장 요건에서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 앞서 해수부는 세월호만한 규모의 선체를 인양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외국업체를 이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인양업체의 기술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나 단체는 있나.

▲ 우리나라는 조선분야에서 세계최고의 기술을 가지고 있어 나름대로 기술력을 가진 전문가들이 있다. 이들을 적극 활용하는 한편 세계적인 해양구난 컨설팅 업체인 영국 TMC의 전문가들도 활용해 국내 전문가들이 놓치는 부분도 살펴보게 하겠다.

-- 인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가비용이나 사고책임은 누가 책임지나.

▲ 기본 개념은 부분적 인양 실패 등을 포함해 모든 사고에 대해서 인양업체가 책임을 지도록 할 계획이다. 당연히 인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사 사고도 책임을 져야 한다. 추가 비용도 기본적으로 입찰업체가 책임을 지도록 하겠다. 인양작업이 지연돼도 비용이 계속 늘지 않도록 총 계약금액을 정해 계약을 맺겠다.

-- 외국업체가 국내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방안은.

▲ 컨소시엄을 구성하기로 한 경우에는 평가 때 가점을 주도록 하겠다. 가점 비중은 검토 중이다. 국내업체의 컨소시엄 참여 비율을 몇 %로 할지, 10%로 할지 20%, 30%로 할지 아직 검토 중이다. 이와 관련해 오후에 전문가 자문회의를 연다. 가점을 적게주면 국내업체들의 참여 비중이 낮아질 수 있지만 높게 주기도 어렵다. 국제입찰이기 때문에 세계무역기구(WTO)의 정부 조달 관련 협정을 준수해야 한다. 때문에 국내업체 참여 비율을 제한할 수는 없다. 다만 세월호 인양 과정에서 국내업체들이 기술도 많이 전수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

-- 세월호를 인양할 만한 국내업체나 관심을 보인 업체가 있나.

▲ 이름을 거론하기는 어렵지만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체는 국내외 각각 10개 안팎이 있다. 구난업체 위주로 참여할 것으로 전망하지만 조선해양플랜트 업체들도 참여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