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생산자물가 6개월째 하락…4년여만에 최저

1월 생산자물가 6개월째 하락…4년여만에 최저

입력 2015-02-17 07:47
업데이트 2015-02-17 07: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생산자물가가 6개월째 하락, 4년 2개월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생산자물가가 소비자물가를 선행한다는 점에서 저물가 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지난 1월 생산자물가지수(2010년 100 기준)가 101.86으로 한 달 전보다 1.2% 내렸다고 17일 발표했다.

이로써 생산자물가는 2010년 11월(101.78) 이후 4년2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 됐다.

6개월째 지속돼온 생산자물가의 하락세는 갈수록 떨어지는 국제유가 때문이다.

두바이유는 11월에 전월보다 11.2% 떨어진 데 이어 12월에는 21.9%, 1월에는 24.0% 각각 하락했다.

윤창준 한은 물가통계팀 과장은 “지난달 생산자물가는 품목군별로도 석탄·석유제품과 화학제품 위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휘발유는 전월보다 22.3% 떨어졌고 경유(-18.4%), 나프타(-20.2%) 등의 내림폭도 컸다.

농림수산품도 1.3% 하락했다.

서비스 물가는 0.3% 상승했고 휴양콘도(17.3%), 중식(0.3%) 등이 오른 품목이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를 1년 전과 비교하면 3.6% 떨어졌다.

국내 출하 및 수입을 통해 공급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공단계별 물가를 보여주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전월보다 2.4% 떨어졌다. 유가 하락의 영향이 큰 원재료는 10.8%나 내렸고 중간재는 2.3%, 최종재는 0.8% 각각 하락했다.

수출품까지 포함해 국내 생산품의 전반적인 가격 추세를 보여주는 총산출물가지수는 전월보다 1.9% 하락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