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찬밥 신세 전락한 ‘관계형 금융’

[경제 블로그] 찬밥 신세 전락한 ‘관계형 금융’

이유미 기자
입력 2015-02-12 00:30
업데이트 2015-02-12 0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위 지원 기술금융과 내용 붕어빵… 최수현 금감원장 퇴임 후 관심·실적 뚝

“동렬(최수현 전 원장)이도 없고, 종범(인센티브)이도 없고….”

김응용 전 프로야구 감독이 과거 해태 감독 시절 부진한 실적 탓에 긴 한숨과 함께 내뱉었던 신세 한탄이 떠오릅니다. 요즘 ‘관계형 금융’의 처지를 보고 있으면 그렇습니다.

관계형 금융은 최수현 전 금융감독원장의 ‘야심작’이었습니다. 재무제표만 도식적으로 보지 말고 꾸준한 관계 맺기 속에 기업과 금융의 신뢰를 구축하라는 것이었지요.

재임 당시 최 원장은 가는 곳마다 “관계형 금융을 해야 중소기업이 살고 은행도 살 수 있다”고 외쳐 댔습니다. 결국 지난해 11월 시중은행에도 관계형 금융이 도입됐지만 ‘불행하게도’ 빛을 보기도 전에 최 원장이 물러났습니다. 후임인 진웅섭 원장이 “관계형 금융을 계속 유지해 나가겠다”고 했지만 전임 원장의 치적 사업에 팔소매를 걷어붙이고 나설 리는 만무합니다. 이 탓에 시중은행의 지원 실적은 밖에 내놓기도 부끄러운 수준입니다.

지난해 말까지 국책은행인 기업(200여건·관계형금융 협약체결 기업체 숫자 기준)과 정부 소유 은행인 우리(102건)만 간신히 체면치레를 했습니다. 국민(40건), 신한(11건), 농협(8건), 하나(3건), 외환(1건) 등 시중은행은 간신히 명맥만 유지하고 있습니다.

사실 은행들은 ‘기술금융’에 치여 관계형 금융에 신경 쓸 겨를이 없습니다. 기술금융은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집무실에 상황판까지 설치해 놓으며 직접 지원 실적을 챙기고 있습니다. 기술금융 실적은 올해부터 은행 혁신성 평가에도 반영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이 결과에 따라 금융사 임직원의 연봉을 깎거나 올려 줄 예정입니다.

시중은행의 한 직원은 “최 전 원장이 물러난 이후 금감원의 관계형 금융 압박이 현저하게 약해졌다”면서 “게다가 기술금융 지원 실적에 관계형 금융을 포함시키지 못하도록 (금융위가 지시)하고 있어 관계형 금융은 사실상 뒷전으로 밀려난 상태”라고 전했습니다.

애당초 기술금융(금융위)과 관계형 금융(금감원)은 내용 면에서 ‘붕어빵’이라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추진하는 주체만 달라 묘한 긴장 관계를 형성했지요. ‘님’(최 전 원장)이 떠나면서 ‘관계’도 급격히 식는 양상이지만, 관계형 금융과 기술금융의 진정한 취지가 유망 기업을 발굴해 지원하는 것이라면 두 가지를 구분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새삼 의구심이 듭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2-12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