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은 가격, 4년반만에 최저수준

금.은 가격, 4년반만에 최저수준

입력 2014-11-26 00:00
업데이트 2014-11-26 07: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 달러화 강세와 세계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금과 은의 국제가격이 지난 2010년 이후 4년반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26일 한국수입협회와 현대증권에 따르면 금 국제가격은 지난 5일 온스당 1천140.03달러로 2010년 4월 이후 4년반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금 값은 올해 초 1천200원에서 출발해 지난 3월에는 14% 오른 1천380달러까지 상승했으나 7월부터는 다시 하락세로 반전했다.

금은 달러화 자산의 대체재와 안전자산의 성격을 띠고 있는데, 미국의 금리인상 및 일본.유로존의 경기부양 가능성으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자 금 값은 내리막길을 걸은 것이다.

또 금 투자는 인플레이션 방어수단으로 매력을 갖고 있지만 요즘 전세계적인 디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도 금 가격 하락을 부추겼다.

이렇게 되면서 금 ETF(상장지수펀드)의 금 보유규모도 많이 축소됐다.

지난 20일 기준 전체 금 ETF의 금 보유량은 연초 대비 8% 감소했고 2012년 12월의 최고치보다 39% 줄어들었다.

세계 최대의 금 ETF인 SPDR 골드트러스트의 금 보유규모는 지난 13일 720t으로 연초 대비 9% 감소, 6년만에 최저치로 추락했다.

은 국제가격 역시 지난 6일 온스당 15.28달러로 연초 대비 17% 하락하면서 2010년 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은 값은 금값보다도 더 떨어졌다.

1온스의 금을 구입하는데 몇 온스의 은이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금.은 비율’은 올해 초 61.9에서 21일 현재 72.88로 높아졌다. 2009년 3월 이래 최고 수준이다.

은 가격 역시 낮은 인플레이션 속에서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것이 하락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은 용도의 절반을 차지하는 산업용 은 가격이 세계 경기둔화로 하락한 것이 금.은 비율을 높이는데 기여했다.

중국의 은 수입 감소도 은 값 하락압력을 더욱 크게 했다.

현대증권은 디플레이션 우려와 미 달러화 강세로 인해 내년 상반기까지는 금.은 가격이 추가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