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참사> 매년 선박 100대中 1대는 사고…징계 ‘솜방망이’

<세월호참사> 매년 선박 100대中 1대는 사고…징계 ‘솜방망이’

입력 2014-04-22 00:00
업데이트 2014-04-22 07: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부분이 선원의 운항과실로 발생…5년간 면허취소 1건도 없어

매년 선박 100대 중 1대꼴로 충돌·좌초·침몰 등 해양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5년간 해양사고 처벌에서 면허취소는 전혀 없었다.

22일 통계청과 해양안전심판원에 따르면 지난해 등록된 선박 수는 8만360척, 해양사고가 발생한 선박 수는 818척으로 해양사고발생률은 1.0%에 달했다.

해양사고 발생률은 2012년 1.1%, 2011년 1.4%, 2010년 1.1%, 2009년 1.1%로 5년째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5년간 해양사고 원인(복수집계)을 보면 선원의 운항과실이 가장 많다. 총 1천404건 중 82.1%(1천153건)의 사고가 경계소홀(652건), 항행법규 위반(161건), 당직근무 태만(19건) 등 운항과실 때문에 일어났다.

기관설비 취급 불량(78건), 화기 취급 불량·전선 노후·합선(34건) 등 취급 불량 및 결함으로 인한 사고는 142건으로 전체 사고의 10.1%였다.

여객·화물의 적재불량(15건), 기상 등 불가항력(28건) 등 기타 사유로 인한 사고는 전체의 7.8%(109건)로 가장 비율이 낮았다.

해양사고 발생률이 1%를 상회하고, 운항과실에 따른 사고가 압도적으로 많지만 해양사고로 업무정지와 견책 등 징계를 받은 항해사·기관사·도선사·선박조종사 숫자는 매년 줄어들고 있다.

2009년 207명, 2010년 238명으로 200명을 웃돌던 징계자 수는 2011년 190명, 2012년 181명, 2013년 154명으로 감소했다.

해양사고 건수 자체가 2009년 723건, 2010년 737건, 2011년 946건, 2012년 726건, 2013년 638건으로 줄어든 것을 고려해야 하지만, 사고건수 대비 징계자 수 비율도 2009년 28.6%에서 2013년 24.1%로 감소하는 추세다.

징계 비율이 줄고 있을 뿐 아니라 수준도 ‘솜방망이’다. 지난 5년간 결정된 징계는 모두 1개월 이상 1년 이하 업무정지와 견책이며, 가장 높은 수준의 징계인 면허취소는 단 한차례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