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대기업, 계약직 급증…정규직은 ‘제자리’

20대 대기업, 계약직 급증…정규직은 ‘제자리’

입력 2014-04-15 00:00
업데이트 2014-04-15 08: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국내 20대 대기업들의 계약직 직원이 급증했지만 정규직 수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내 매출(개별회계 기준) 순위 20대 대기업들이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계약직 직원 수는 1만2천585명으로 전년의 1만924명보다 15.2% 늘었다.

계약직 직원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기아자동차로 2012년 23명에서 작년 120명으로 5.2배나 늘었다.

현대자동차의 계약직 직원도 1천727명에서 3천238명으로 87.5% 증가했고 현대모비스 역시 103명이었던 계약직이 200명으로 불어 94.2%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현대·기아자동차 측은 “생산라인에서 산업재해로 생긴 결원을 대체하기 위해 계약직 직원을 채용했고, 만 59세 이상 정규직은 퇴사 뒤 계약직으로 1년 더 채용하는 데 이 인원이 계약직 사원에 포함되면서 숫자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현대자동차의 사업보고서상 직원 수엔 사내 하청근로자는 포함하지 않았다.

LG디스플레이와 SK하이닉스는 계약직 직원이 각각 0명과 13명에 불과?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같은 제조업이라도 전자 분야는 생산 라인의 고졸 직원까지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며 “의무실의 의사같은 특수직무와 육아휴직자의 임시 대체인력 외에 계약직이나 사내하청은 없다”고 말했다.

전직원 중 계약직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워커힐호텔을 보유한 SK네트웍스(24.2%)였다.

전체 계약직 직원 중 여성의 비율은 22.6%로 ‘여성=계약직’이라는 통념과는 달랐다.

반면 정규직 직원의 증가폭은 미미했다.

20대 대기업의 정규직 직원은 2012년 42만7천651명에서 지난해 44만524명으로 3.0%(1만2천873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정규직 직원 증가율이 높았던 곳은 삼성물산(12.2%), 한국가스공사(7.0%), 현대모비스(6.2%), SK텔레콤(6.0%) 등이었다.

SK네트웍스와 LG디스플레이가 정규직 직원이 각각 6.3%. 2.9% 감소했고 삼성중공업(0.5%), KT(0.8%), 기아자동차(1.6%) 등의 정규직 증가율이 비교적 낮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