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핑장 10개 중 9개는 미등록 시설

캠핑장 10개 중 9개는 미등록 시설

입력 2014-04-10 00:00
업데이트 2014-04-10 07: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 야영장 관광업으로 분류해 법제화 추진

캠핑열풍을 타고 전국 곳곳에 들어선 캠핑장 대부분이 미등록 시설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해 연말 기준으로 전국에 1천866곳의 캠핑장이 난립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작 등록된 캠핑장은 230곳에 불과했다고 10일 밝혔다.

전국 캠핑장 가운데 12.3%만 정식 등록시설이라는 뜻이다.

등록 종류별로는 국립공원 야영장 92곳, 자동차 야영장 50곳, 청소년 야영장 45곳, 자연휴양림 야영장 43곳이다.

그러나 캠핑 인기를 타고 우후죽순 들어선 미등록 야영장이 87.6%에 달해 안전 사고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우려됐다.

소방방재청 통계에 따르면 야영장 안전사고는 2009년 429건, 2010년 282건에서 2011년 3천4건으로 급증했다.

미등록 야영장은 이용객이 현장에 도착해 확인하기 전까지는 품질을 미리 판단하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로 제기됐다.

문체부는 이에 따라 야영장을 관광업의 하나로 법제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지금까지는 자연공원법, 청소년활동 진흥법 등으로 흩어져 있는 야영장 등록 기준을 관광진흥법으로 통합해 ‘야영장업’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문체부는 지난 7일 이런 내용을 담은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으며, 이르면 9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야영장업은 일반 야영장업과 자동차 야영장업으로 구분되며, 입지와 야영지 규모, 편의 시설, 진입로 등 세부 기준을 충족해야 야영장으로 등록이 가능해진다.

문체부 관계자는 “캠핑 열풍이 일면서 사설 야영장이 곳곳에 들어서 안전 사고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야영장을 정책적으로 관리하려는 차원에서 시행령 개정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