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銀 - 국책銀 - 정부 ‘3중 외환 방어선’ 점검

시중銀 - 국책銀 - 정부 ‘3중 외환 방어선’ 점검

입력 2013-12-31 00:00
업데이트 2013-12-31 03: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엔 환율 방어’ 정부 대책

원·엔 환율이 5년 3개월여 만에 900원대로 떨어지자 외환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단기적으로 100엔당 1000원을 방어선으로 설정한 정부는 일단 외환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시중은행→국책은행→정부의 외환보유고’로 이어지는 3중 외환 방어선을 점검하기로 했다.

엔저 현상이 더욱 심화돼 1000원 방어선이 무너질 경우에는 정부가 외환시장에 직접 개입하는 ‘스무딩 오퍼레이션’(미세조정) 등의 즉각적인 조치도 취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30일 “외환 당국은 원·엔 환율의 급격한 하락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면서 “시장을 더욱 예의 주시할 방침이며 환율이 계속 내려가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환 당국은 이날 긴급 대책 회의를 열지는 않았지만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을 중심으로 환율 추이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엔화 약세 현상이 원화와 엔화 가치 사이의 직접적인 관계가 아닌 엔·달러 환율의 영향을 받는 만큼 당분간은 외환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면서 대책을 모색하겠다는 입장이다.

기재부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구축해 놓은 시중은행, 국책은행, 외환보유고 등 3중 외환 방어선도 점검하기로 했다. 일단 시중은행의 외화유동성을 점검하고 시중은행과 수출 기업을 지원하는 국책은행의 유동성 상황도 들여다볼 계획이다. 엔저로 일본 기업들과의 가격 경쟁력에서 밀려 수출 실적이 감소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도 검토한다.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등을 통해 중소기업에 대한 수출금융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내년 중에 중소, 중견기업의 해외 진출과 수출 지원을 확대하는 대책도 마련한다.

다만 당국은 엔저 현상이 앞으로 계속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전망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일본이 구조조정 등 아베노믹스를 계속 추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국제금융시장에 잠재돼 있다”면서 “원·엔 환율이 한 방향으로 쏠리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3-12-31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