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대 재벌그룹 내부거래 줄어…경제민주화 ‘위력’

7대 재벌그룹 내부거래 줄어…경제민주화 ‘위력’

입력 2013-09-11 00:00
업데이트 2013-09-11 09: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GS 45%, 한화 33%, 현대중공업 28%, 두산 10% 감소 반대로 롯데와 LG 내부거래는 20% 이상 증가

올해 상반기 10대그룹 중 7곳은 내부거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S와 한화가 많이 감소했다.

계열사간 합병 등 사업구조가 변경된데 따른 면도 있지만 현 정부가 들어서면서 경제민주화가 이슈로 떠오르며 영향을 미친 면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상반기 재벌 총수가 있는 10대그룹 상장 계열사 92곳의 내부거래 총 규모는 27조5천82억원으로 작년 동기(27조9천734억원)보다 1.4% 줄어드는 데 그쳤다.

GS의 상반기 내부거래 규모는 1천894억원으로 작년 상반기보다 45.2%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고 한화는 33.5% 감소했다.

또 현대중공업의 내부거래 규모가 28.1% 줄어든 것을 비롯해 두산 9.9%, 삼성 9.9%, 한진 3.0%, 현대차 1.4% 각각 감소했다.

10대 그룹 중 7곳은 감소했지만 롯데와 LG는 상반기 내부거래 규모가 작년 동기보다 각각 20.7%, 20.2% 늘었다. SK도 2.2% 증가했다.

상반기 내부거래 규모는 현대차그룹이 11조5천828억원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삼성(5조6천2억원), LG(5조856억원), SK(2조3천722억원), 롯데(9천746억원), 현대중공업(9천121억원), 두산(3천930억원), 한진(2천396억원), 한화(2천308억원), GS(1천894억원) 순이다.

현대차의 내부거래 감소 규모가 작고 LG가 20% 이상 증가하다보니 10대 그룹 전체의 내부거래 감소 폭은 소폭에 그친 것으로 분석된다.

그나마 10대 그룹 중 7곳의 내부거래가 줄어든 것은 사업구조 변경 등 그룹 내부 사정도 있지만 대기업 집단의 일감몰아주기 관행에 대한 비판이 거셌던 것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정선섭 재벌닷컴 대표는 “내부거래가 전체적인 흐름 면에서 줄어들고 있는 것 같다”며 “아무래도 말썽이 일 소지가 있고 하니 대기업들도 몸조심을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현 정부 들어 경제민주화가 사회 핫 이슈로 떠오르자 현대차, SK, LG, 삼성, 롯데 등은 일감 나누기를 선언했다.

또 올해부터 일감 몰아주기에 대해 증여세가 과세되기 때문에 내부거래가 더욱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이는 특수관계법인으로부터 연매출의 30%를 초과하는 일감을 받은 기업의 지배주주나 친인척 중 지분을 3% 넘게 보유한 이들에게 증여세를 매기는 것이다.

총수일가 지분율이나 총수 2세 지분율이 높은 비상장사는 내부거래 비중이 더욱 높은 편이다.

내부거래가 무조건 부적으로 바라볼 것은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제조업체의 수직계열화 등 거래비용 절감을 위한 것이라면 불가피한 면이 있기 때문이다.

이기웅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 부장은 “내부거래가 기업의 경영효율화를 위한 것이라면 문제삼기 어렵지만 재벌들의 불법 상속 증여 등 사익을 위해 악용될 소지는 철저히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