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사회공헌 투자 늘려도 감동지수는 기대 이하…국민 80% “생색내기용” 평가 싸늘

국내기업 사회공헌 투자 늘려도 감동지수는 기대 이하…국민 80% “생색내기용” 평가 싸늘

입력 2013-07-25 00:00
업데이트 2013-07-25 02: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특성 못 살리고 형식에 그쳐 “사회공헌 잘하고 있다” 긍정 답변은 28%에 불과

국내 기업들이 미국·일본 기업에 비해 2배 이상 사회공헌에 투자하고 있지만 ‘기업이 사회공헌을 잘한다’고 평가하는 국민은 10명당 3명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각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 생색내기에 그치거나 업종 성격과 맞지 않는 경우가 많은 탓으로 분석된다.

24일 제일기획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2011년 국내 기업들의 사회공헌 총투자액은 3조 1241억원으로 2005년 대비 2.2배가량 증가했다. 2007년 1조 9556억원, 2008년 2조 1601억원, 2009년 2조 6517억원, 2010년 2조 8735억원으로 꾸준한 증가세에 있다. 기업당 매출 대비 투자 비율은 0.24%로 미국(0.11%), 일본(0.09%)에 비해 2배 이상 높다.

하지만 정작 국민의 평가는 냉랭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일기획이 남녀 103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기업이 사회공헌을 잘하고 있다’는 답은 응답자의 28%에 그쳤다. 특히 ‘기업이 윤리경영을 잘하고 있다’는 답은 16%에 그쳐 상당수 국민이 기업의 활동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편이다.

제일기획 관계자는 “응답자의 70% 이상이 비윤리적 기업의 제품은 구매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고 답했다”며 “사회공헌이 기업 이미지는 물론 구매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국민의 낮은 평가는 사회공헌이 형식적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대다수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 일률적인 직원 봉사활동, 단순 기부 등에 그쳐 기업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80.9%는 ‘더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이 필요하다’, 80.1%는 ‘생색내기용 사회공헌 활동이 많다’, 51.2%는 ‘사회공헌 활동이 기업의 성격과 동떨어져 있다’고 답했다.

제일기획 관계자는 “단발적인 사회공헌 활동으로 기업에 대한 높은 기대를 만족시키기는 어렵다”며 “다양성에 기반을 둔 공감형 사회공헌, 소비자가 함께하는 참여형 사회공헌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활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제일기획은 기업의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돕는 솔루션 전문 조직 ‘굿 컴퍼니 솔루션 센터’를 열었다. 센터는 ‘착한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 고민하는 기업들에 사회책임(CSR) 전략, 소셜네트워크 여론 수집, 네트워크 연대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

유정근 센터장은 “센터는 맞춤형 가치경영 전략모델인 ‘소셜 큐브’, 실시간 위기관리 시스템 ‘소셜 미디어 서비스’, 네트워크 관리 프로그램 ‘소셜 마이스’ 등 자체 도구를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며 “이를 활용해 단순 기부 등 기존 방식에서 탈피, 실제 기업 브랜드에 도움이 되고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사회공헌 활동 방법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07-25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