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10기 정지…올여름 최악의 전력대란 우려

원전 10기 정지…올여름 최악의 전력대란 우려

입력 2013-05-28 00:00
업데이트 2013-05-28 09: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지·정비 길어질 듯…6월초 ‘아슬아슬’·8월초 ‘위기’

전력수급이 그렇지 않아도 불안한 상황에서 가동 중단되는 원전이 늘어나 이번 여름 심각한 전력난이 우려된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8일 시험성적서가 위조된 부품이 사용된 신고리 2호기와 신월성 1호기의 가동을 중단하도록 했다.

마찬가지 이유로 지난달 8일부터 정지 상태인 신고리 1호기의 정비 기간을 연장하고 운영허가 심사 중인 신월성 2호기는 해당 부품을 모두 바꾸라고 명령했다.

신고리 1·2호기, 신월성 1·2호기의 설비 용량은 100만㎾씩이다.

이날 원안위의 결정으로 당장 200만㎾의 전력공급이 줄게 됐다.

원안위 발표 전까지 전국 원전 23기 중 신고리 1호기를 비롯해 고리 1·2호기, 한빛(옛 영광) 3호기, 월성 1·2호기, 한울(옛 울진) 4·5호기 등 8기가 정지 중이었다.

여기에 신고리 2호기와 신월성 1호기까지 추가돼 멈춰선 원전은 10기로 늘어난다.

원전 전체 설비용량이 2천71만6㎾인데 이 가운데 771만6천㎾를 가동할 수 없는 상황이다.

원래 신고리 2호기는 이달 말일부터, 신월성 1호기는 다음 달 12일부터 예방정비가 계획돼 있었다.

이들 원전의 정지가 수일에서 2주가량 앞당겨져 이 기간은 예상보다 적은 공급능력으로 버텨야 한다.

또 70만㎾급 월성 3호기의 정비가 다음 달 8일부터 예정돼 있기 때문에 이 시기에 심각한 전력난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앞서 위조 검증서 파동을 겪은 한빛 원전의 사례나 원안위의 이날 발표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원전의 정비 기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전력 가뭄’은 올여름 내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예상하지 못한 원전 2기의 정지가 결정되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원전·전력 당국 관계자를 긴급 소집해 대책 회의를 열었다.

한진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이날 오후 원전·전력 관련 대책을 브리핑한다.

또 6월 초에 발표할 예정이던 여름철 전력수급대책도 금주 중 발표할 계획이다.

주요 원전이 2기나 돌발 정지한 만큼 정부 차원에서 마련 중인 전력대책을 일부 변경할 것으로 보인다.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산업정책관은 “전력수급 대책을 금주 중 마련해 즉시 시행해야 하며 기간도 늘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전력수급은 6월 초에 아슬아슬하고 8월 초에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다”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