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형저축 그림의 떡’ 저소득 겨냥 적금 인기

‘재형저축 그림의 떡’ 저소득 겨냥 적금 인기

입력 2013-04-22 00:00
업데이트 2013-04-22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직장인만 가입 가능’ 단점

세제 혜택 등이 얹어진 ‘재형저축’ 광풍이 주춤한 틈을 타 저소득층을 겨냥한 적금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21일 금융권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기초생활수급자 수는 지난해 139만명이다. ‘소득이 적어도 직장인이 아니면 가입할 수 없는’ 재형저축의 단점이 부각되면서 저소득층은 은행권의 틈새 적금 상품에 다시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해 1월 출시한 기업은행의 신서민섬김통장은 이달 15일 현재 121만 3000개 계좌가 나갔다. 누적 판매액은 10조 3346억여원이다. 2010년 4월 출시한 하나은행의 희망키움통장은 4700개 계좌에 1230억원이 들어왔다. 지난해 10월 가세한 우리은행의 우리희망드림적금은 9372개 계좌에 61억원, 올해 3월 가장 뒤늦게 뛰어든 국민은행의 KB국민행복적금은 7095개 계좌에 51억원이 각각 모였다.

이들 상품의 특징은 사회소외계층의 목돈 마련과 자립 지원에 초점을 맞춰 설계됐다는 점이다. 기초생활수급자, 소년소녀가장, 새터민 등 사회소외계층이 상품에 가입할 경우 높은 우대 금리와 다양한 혜택을 준다. 금리만 놓고 보면 KB국민행복적금이 고객에게 가장 유리하다. 기본이율 연 4.5%에 우대 이율 등을 더해 최고 7.5%를 준다. 기업은행의 신서민섬김통장은 3년 만기에 최고금리가 연 6.80%이다. 우리은행의 우리희망드림적금은 기본이율 연 4.0%, 최고금리 7.5%(만기 기준)이다.

저소득층의 경우 불가피한 상황 등으로 적금을 깨는 경우가 많은 점을 감안해 최고 금리뿐 아니라 기본이율도 꼼꼼히 따져 가입하는 것이 좋다. 중도 해지하면 대부분의 은행이 기본이자만 주기 때문이다. 그렇더라도 다른 상품과 비교하면 중도 해지에 따른 불이익이 눈에 띄게 적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다. 신한은행(신한새희망적금)은 가입 후 18개월만 지나면 아무 조건 없이 연 4.0%의 이자를 적용해 준다. 국민은행은 6개월만 지나면 기본이율 4.5%를 준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지난달까지만 해도 가입 계좌 수가 5000여개 정도였는데 최근 한 달 사이에 4000계좌나 늘었을 정도로 가입자 수가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라고 전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3-04-22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