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프리즘] 은행권 너도나도 ‘창조… 창조’

[경제 프리즘] 은행권 너도나도 ‘창조… 창조’

입력 2013-04-02 00:00
업데이트 2013-04-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며느리도 모르고 정치권도 잘 모른다는 ‘창조’ 사랑에 금융권도 가세했다.

이미지 확대
민병덕 국민은행장은 1일 2분기 조회사에서 “한국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 구글 같은 혁신·창조 기업이 생길 수 있도록 KB의 창조금융이 이를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앞서 지난달 25일 은행장을 위원장으로 한 ‘창조금융추진위원회’도 만들었다. ‘창조경제를 기반으로 한 지속성장 및 일자리 창출정책 뒷받침’이 위원회 신설 배경이다. 이를 두고 은행권은 ‘넘치는 창조 사랑’이라며 뒤에서 쑤군댔다.

그랬던 은행들이 언제 그랬냐는 듯 ‘따라하기’에 나섰다. 서진원 신한은행장은 같은 날 2분기 조회사에서 “창조 경제 구현에 대한 은행의 사회적 역할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창조’를 꺼내들었다. 창조의 의미를 ‘아이디어’에 둔 민 행장과 달리 서 행장은 ‘사회적 책임’에 방점을 찍었다.

김종준 하나은행장은 2분기 조회사에서 ‘금융 소비자 보호’를 재차 들고 나왔다. 금융 소비자 보호 또한 창조 못지않게 새 정부의 핵심 화두다. 은행권이 지나치게 ‘정권 코드 맞추기’를 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시중은행들은 박근혜 대통령이 ‘금융 소비자 보호’를 언급하자 올 초 신년사에서 너나 할 것 없이 금융 소비자 보호를 강조했다. ‘중소기업의 손톱 밑 가시 빼기’를 강조했을 때는 앞다퉈 중소기업 관련 금융상품을 출시했다.

한 금융지주사 부사장은 “은행이 갑이라는 인식들이 강해 정권 초에는 으레 ‘금융 손보기’가 이뤄졌다”면서 “이런 과거의 아픈 경험 때문에 (금융권이) 알아서 비위를 맞출 수밖에 없다”고 속내를 털어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정권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것은 사실이지만 의미도 불분명한 창조에 우르르 몰려가는 모양새가 보기 좋지만은 않다”고 꼬집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3-04-02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