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평생 암 걸릴 확률 36%

한국인 평생 암 걸릴 확률 36%

입력 2011-12-29 00:00
업데이트 2011-12-29 14: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본문 끝에서 1~4번째 단락 이진수 암센터 원장 코멘트, 암종류별 유병자 비율, 5년이상 유병자 수 등 추가.>>

5년 생존율 62%..남자 위암>대장암>폐암, 여자 갑상선암>유방암>대장암 많아

암 환자 80만명 웃돌아..2009년 기준 국가암등록 통계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우리나라 국민들이 제 수명까지 살면서 암에 걸릴 확률은 36% 정도로, 약 3명 가운데 1명이 평생에 한 번은 암과 맞닥뜨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최근 국내 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60%를 웃돌아 현재 무려 80만명이상이 최근 10년내 암 진단을 받고 극복했거나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국가암등록통계(2009년 기준)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평균수명인 81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2%로 나타났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은 5명 가운데 2명, 여성은 3명 가운데 1명꼴로 남성이 여성보다 암 발병 확률이 좀 더 높았다.

암 종류별 평생 발병 확률은 남자의 경우 ▲위암 9.1% ▲폐암 7.3% ▲대장암 7.0% ▲간암 5.1% ▲전립선암 4.2% 등의 순으로 높았고, 여자의 경우 ▲갑상선암 7.9% ▲대장암 5.0% ▲위암 4.8% ▲유방암 4.2% ▲폐암 3.2% 등이 1~5위를 차지했다.

2009년에 우리 국민들이 가장 많이 진단받은 성별 ‘5대 암’은 남자의 경우 위·대장·폐·간·전립선암, 여성의 경우 갑상선·유방· 대장·위·폐암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1999년 이후 2009년까지 전체 암 발병 건수는 연평균 3.4% 정도 늘어났다. 남자(1.6%)보다 여자(5.5%)의 증가율이 더 높았다.

남성에게서는 갑상선암(연평균 25.6%), 전립선암(13.2%), 대장암(6.7%) 등의 증가세가 뚜렷했고, 여성의 경우 갑상선암(25.4%), 유방암(6.3%), 대장암(5.1%) 등이 꾸준히 늘었다. 특히 여성의 대장암은 2009년 발병자 수 기준으로 처음 위암을 앞질렀다. 반면 여성의 간암(-1.5%), 자궁경부암(-4.4%)은 줄어드는 추세로 나타났다.

갑상선암 증가율이 높은 것은 초음파를 통한 조기 진단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며, 대장암의 경우 고지방·저섬유질 음식을 즐겨찾는 서구식 식습관과 관계가 있다는 게 보건당국의 설명이다.

2005~2009년 사이 암을 확인한 환자의 5년 생존율(이하 생존율)은 62.0%로 집계됐다. 평균적으로 처음에 암 진단을 받은 10명 가운데 6명은 5년이상 살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여성 환자만 따지면, 생존율은 이미 7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암 생존율은 ▲1993~1995년 41.2% ▲1996~2000년 44.0% ▲2005~2009년 62.0% 등으로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갑상선암의 생존율이 99.7%로 가장 높았고, 대장암(71.3%)과 위암(65.3%) 등도 5년 넘게 살 수 있는 확률이 50%를 웃돌았다. 반면 췌장암(8.0%), 폐암(19.0%), 간암(25.1%)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2010년 기준 ‘10년 암유병자’ 수는 모두 80만8천503명으로 집계됐다. 2000년부터 2009년 사이 10년동안 암 진단을 받은 환자 가운데 2010년 1월 1일 현재 살아있는 사람이 80만명을 넘는다는 얘기다. 2009년 전체 인구(4천965만6천767명)를 기준으로 60명당 1명꼴로 암치료를 끝냈거나 받으며 생존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이 가운데 24만3천82명은 진단 이후 생존 기간이 5년을 넘어선 경우였다.

암 종류별 유병자 수는 위암(18.0%)이 가장 많았고, 이어 갑상선(16.9%)·대장(14.3%)·유방(10.8%)·간(4.8%)·폐암(4.7%) 등의 순이었다.

이진수 국림암센터 원장은 “암의 발생률 뿐 아니라 암의 생존율도 같이 높아지는 추세”라며 “이에 따라 암 유병자 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만큼 암 생존자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암 진단 이후 5년이상 살고 있을 경우 발암 요인에 노출됐던 전례가 있어 다시 암이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관리가 꼭 필요하다”며 “의학적 측면 뿐 아니라 직장이나 보험 등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도 전반적으로 암 환자에 대한 인식이 달라져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