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자산 7779조… 10년새 2.3배

국가자산 7779조… 10년새 2.3배

입력 2011-12-29 00:00
업데이트 2011-12-29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인과 기업, 정부 등 우리나라 전체가 보유한 자산이 7800조원에 육박한다. 10년 사이에 부동산을 중심으로 자산이 커지면서 2배 이상이 됐다. 통계청은 2010년 말 기준 국가자산이 7779조원으로 전년 말(7434조원)보다 344조원(4.6%) 늘어났다고 28일 밝혔다. 10년 전인 2000년 말(3400조원)의 2.3배다.

이미지 확대


자산형태별로 보면 토지자산이 3568조원(45.9%), 유형고정자산이 3380조원(43.5%)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재고자산은 490조원(6.3%)으로 세번째 비중을 차지했고 내구소비재 205조원(2.6%), 무형고정자산 43조원(0.6%) 등의 순이다.

부동산 자산은 토지 3568조원에 건물 1812조원 등 5380조원으로 전체 국가자산의 69.2%를 차지한다. 2009년(5188조원)보다 3.2%(192조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부동산 경기 불황 등의 여파로 부동산 자산의 증가율이 국가 자산의 증가율을 밑돈 것이다.

토지 중에서는 대지(53.0%), 농경지(15.4%), 공공용지(13.8%), 임야(6.1%), 공장용지(5.2%) 등의 순으로 많았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이 31.1%, 경기 28.9%, 인천은 5.6% 등으로 수도권의 토지자산이 전체의 65.7%를 차지했다. 10년 전 수도권이 토지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4.3%였다.

유형고정자산을 항목별로 보면 비주거용 건물 963조원(28.5%), 구축물 945조원(28.0%), 주거용 건물 849조원(25.1%) 등 건설투자로 축적된 자산이 전체 유형고정자산의 81.6%를 차지했다. 10년 전 건설투자 관련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3.0%에 불과했고, 특히 비거주용 건물은 374조원으로 전체 유형고정자산의 23.7%였다.

내구소비재 자산은 205조원이었다. 자동차 등 개인수송기구가 44.1%(90조원)로 비중이 가장 컸다. 이어 TV 등 영상음향통신기기(22.8%), 가구·장치품(15.1%), 가정용 기구(13.3%) 등이었다.

소유주체별로는 개인이 3226조원(41.5%)으로 가장 많은 자산을 보유했다. 비금융법인은 2967조원(38.1%), 일반정부는 1472조원(18.9%), 금융법인은 114조원(1.5%)의 자산을 보유했다. 2000년 개인의 보유비중은 45.0%로 10년 사이에 개인 명의의 자산은 줄어든 반면 비금융법인의 비중은 35.5%에서 38.1%로, 일반정부의 비중은 17.8%에서 18.9%로 늘어났다.

생산과정에서 산출된 자산으로 자본축적 정도를 보여주는 생산자산은 3913조원이었다. 생산자산은 유·무형 고정자산과 재고자산으로 구성된다. 광·제조업(23.4%)과 서비스업(64.0%)이 전체 생산자산의 87.4%를 보유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1-12-29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