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ㆍ50대 부부 가구 절반은 맞벌이

40ㆍ50대 부부 가구 절반은 맞벌이

입력 2011-12-13 00:00
업데이트 2011-12-13 12: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혼여성 5명중 1명은 결혼 등으로 직장 그만뒀다

배우자가 있는 40ㆍ50대 가구의 절반가량이 맞벌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혼 여성 5명 가운데 1명은 결혼과 임신ㆍ출산 등으로 직장을 그만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통계청의 ‘2011년 맞벌이가구 및 경력단절 여성 통계 집계 결과’를 보면 2011년 6월 기준 배우자가 있는 1천162만가구 가운데 맞벌이는 507만가구로 전체의 43.6%를 차지했다.

맞벌이가구 가운데 44만가구(8.6%)는 부부가 같이 살고 있지 않는 이른바 ‘주말부부’였다.

가구주 연령이 40대인 343만가구 가운데 맞벌이는 178만가구(52.1%)로, 비율이 가장 높았다. 50대 역시 절반가량(49.7%)의 부부가 모두 돈을 벌었다. 60세 이상(28.9%)과 15∼29세(39.2%)는 상대적으로 맞벌이 비율이 낮았다.

가구주 기준으로 맞벌이가구는 임금근로자가 57.3%, 비(非)임금근로자는 42.7%였다. 홑벌이가구에서 임금근로자 비율이 73.3%, 비임금근로자는 26.7%인 것과 비교하면 맞벌이가구는 비임금근로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맞벌이가구는 도ㆍ소매업, 숙박ㆍ음식점업, 농림어업 등 자영업에서 부부가 함께 사업체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실제 산업별 맞벌이가구 비율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배우자가 있는 취업자가구 가운데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이들은 모두 84만가구인데 이중 맞벌이가 68만가구로 81.1%에 달했다. 또 도소매ㆍ숙박음식업에 종사하는 취업자가구의 58.3%가 맞벌이였다.

부부가 한집에 같이 사는 맞벌이가구(464만가구)만을 놓고 봤을 때 부부가 같은 산업에 종사하는 비율 역시 농림어업과 도소매ㆍ숙박음식점업이 가장 높았다.

동거 중인 맞벌이가구 가운데 67만가구가 농림어업에서 일하는 데 부부가 같은 산업인 경우가 56만가구로 83.7%에 달했다. 도소매ㆍ숙박음식점업도 부부가 같은 산업에 일하는 비율이 60.6%로 농림어업 다음이었다.

지역별로 제주(56.6%)와 전남(56.5%), 충남(53.1%) 등이 맞벌이가구 비율이 높았다. 울산(37.8%), 부산(38.1%), 서울(39.0%) 등 특별ㆍ광역시는 맞벌이보다 홑벌이가구가 많았다.

15∼54세 기혼여성 986만6천명 가운데 현재 일을 하지 않는 비취업 여성(실업자+비경제활동인구)은 408만1천명이다.

이 가운데 결혼, 임산 및 출산 등의 경력단절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여성은 190만명으로, 기혼여성의 19.3%를 차지했다.

경력단절 여성의 연령대를 보면 30대가 108만4천명(57.1%)으로 가장 많았다. 40대는 23.8%, 15∼29세 12.6%, 50∼54세는 6.6%였다.

경력단절 사유로 결혼이 47.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육아(28.7%), 임신ㆍ출산(20.0%), 자녀교육(4.3%) 순이었다.

연령대별 경력단절 사유를 보면 육아를 꼽은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30대(33.0%)였다. 임신ㆍ출산은 15∼29세(30.7%), 결혼은 50∼54세(70.1%)였다.

경력단절 여성의 55.8%는 이전 직장에서 일한 기간이 3년 이내였다. 78.4%는 5년 이내에 결혼, 임신ㆍ출산 등으로 직장을 그만뒀다.

경력단절 여성 가운데 5.5%(10만4천명)는 취업을 희망했다. 이 가운데 3만명(취업 희망자의 28.8%)은 지난 4주간 실제 구직활동을 벌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