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확보 비상] 민감한 韓 …외부 금융충격에 영향 커

[유동성 확보 비상] 민감한 韓 …외부 금융충격에 영향 커

입력 2011-10-04 00:00
업데이트 2011-10-04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닥터 둠’ 루비니 지적

이미지 확대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정확히 맞힌 데 이어 지난해부터 세계 경제의 더블딥(이중 침체) 가능성을 제기했던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의 연구소가 우리나라의 내년 경제 성장률을 3.4%로 낮췄다. 또 2008년과 비교하면 외부 금융 충격에 강해졌지만 여전히 아시아 신흥국 중에서 한국이 가장 민감하다고 지적했다.

3일 루비니 교수가 만든 루비니글로벌이코노믹스(RGE)의 세계경제전망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은 잠재성장률보다 1% 포인트가량 낮은 3.4%로 전망했다. RGE는 “올해 4분기 한국 경제가 일본 대지진 여파에서 회복될 것으로 봤지만 선진국 시장에서의 수요가 떨어지고 있다.“면서 “내년도 경제 전망치를 기존 3.6%에서 3.4%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RGE는 2010년 현재 단기외채·만기도래장기외채·비거주자예금을 공식외환보유고로 나눈, 외부 충격에 대한 취약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60이상으로 중국, 타이완, 인도,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과 비교해 가장 높다고 지적했다.

RGE는 “(이 지표가 90 이상이었던) 2008년에 비해 개선됐지만 한국 경제는 ‘리먼 사태와 비슷한’(Lehman-style) 유로존 재정 위기에 있어서 아시아 신흥국 가운데 가장 민감하다.”고 덧붙였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1-10-04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