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남성 흡연율 지속 하락…1년새 3.6%P↓

성인남성 흡연율 지속 하락…1년새 3.6%P↓

입력 2011-07-20 00:00
업데이트 2011-07-20 12: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0%대에 진입한 우리나라 성인남성의 흡연율이 지속적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미지 확대
보건복지부가 21일 발표한 2011년 상반기 흡연실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성인남성 흡연율은 39.0%로 지난해 상반기(42.6%)에 비해서는 3.6%포인트, 지난해 하반기(39.6%)에 비해서는 0.6%포인트 줄었다.

또 성인여성 흡연율도 작년 상반기(3.9%), 작년 하반기(2.2%)에 이어 1.8%로 낮아졌다.

연령대별 흡연율을 보면 남성은 30대가 51.2%로 가장 높았고, 40대(42.3%), 20대(40.5%), 50대(34.1%), 60세 이상(20.1%) 순이었다.

여성은 20대 흡연율이 3.6%로 가장 높았고 30대가 0.9%로 가장 낮았다.

연령대별 흡연율 추이를 보면 30대 이하 젊은 남성의 흡연율은 48.5%(작년 상반기)→52.2%(작년 하반기)→51.2%(올 상반기)로 변화가 적었지만, 40대 이상 남성 흡연율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특히 60세 이상 남성 흡연율은 29.9%(작년 상반기)→23.2%(작년 하반기)→20.1%(올 상반기)로 1년 만에 무려 9.8%포인트나 하락했다.

그러나 최초 흡연 연령은 20.6세로 작년 하반기(21.1세)에 비해 낮아졌고, 규칙적 흡연 개시 연령도 지난해 하반기 21.6세에서 21.2세로 어려졌다.

흡연자의 경우 통상 최초 흡연시점부터 대략 6개월 이내에 습관적인 흡연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는 대목이다.

또 흡연율이 대체로 줄어들지만 매일 최소 한 개비 이상을 피우는 ‘습관적 흡연자’ 비율은 95.2%로 작년 하반기(95%)에 비해 오히려 높아졌고, 하루 평균 흡연량도 16.6개비로 작년 하반기와 차이가 없었다.

처음 담배를 피우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26.7%가 ‘동료 주변사람 친구 등의 권유’를 꼽았고, ‘멋있게 보이고 호기심 때문에’라는 응답비율은 23.8%였다.

또 흡연자의 59.4%(남성은 60.4%, 여성은 39.3%)는 금연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금연 결심의 주된 이유로는 ‘건강이 나빠져서, 건강에 대한 염려’ 등을 꼽은 응답자가 67.7%에 달했다.

그러나 금연 시도자의 84.7%는 특별한 방법 없이 자신의 의지만으로 금연을 실천했고, 55.7%는 스트레스 때문에 금연에 실패했다고 답했다.

현재 비흡연자 중 금연 성공자 비율은 21.6%였으며 이들 중 58%가 단 한번의 시도로 담배를 끊었다고 답했다.

담배를 끊은 사람의 금연 시도 횟수는 여성이 평균 4.6회, 남성이 4.0회였다. 실내 간접흡연 경험률은 직장이 59.4%, 가정이 38.6%였다.

효과적인 금연정책에 관한 질문에는 ‘금연구역 확대 및 단속 강화’(27.3%), ‘담배가격 인상’(21.4%), ‘대중매체를 통한 교육 홍보 강화’(19.4%) 등이 꼽혔다.

또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한 금연구역에서 흡연시 물리는 과태료(10만원 이하) 수준에 대해서는 57%가 ‘적정하다’고 답했고, 22.5%는 ‘비싸다’, 18.9%는 ‘싸다’고 답했다.

흡연의 위해성을 인지하도록 하는 데 필요한 담뱃갑 관련 정책으로는 49.5%가 경고그림 삽입을 꼽았다.

현재 담배 가격(평균 2천500원)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1%가 ‘싸다’고 답했으며, 이들이 제시한 적정 담배 가격은 8천559원이었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19세 이상 성인남녀 3천명(남 1천482명, 여 1천518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17∼26일에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79%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