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1.5%, 상속재산 절반 차지

대한민국 1.5%, 상속재산 절반 차지

입력 2011-06-07 00:00
업데이트 2011-06-07 08: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속재산 토지>건물>금융자산..”편법 증여ㆍ상속 철저히 막아야”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당신이 상속세를 낼 확률은 얼마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1.5%다.

그러나 그 1.5%가 차지하는 상속재산은 놀랍게도 전체 상속재산의 절반이 넘는다.

7일 국세청에 따르면 2009년 상속세 과세 대상이 되는 피상속인은 28만8천503명이었다. 이 가운데 실제로 상속세가 부과된 피상속인은 4천340명(1.5%) 뿐이었고 나머지는 상속세가 부과되지 않았다.

피상속인 가운데 1.5%에게만 상속세가 부과된 이유는 상속세에 각종 공제 혜택이 붙기 때문이다.

일단 상속재산에서 부채를 뺀 나머지 재산만 과세 대상이 된다. 이 재산이 5억원 미만이면 상속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 5억원 기초공제와 별도로 배우자 상속은 공제한도가 최대 30억원에 달한다.

한마디로 최상위권의 부유층에 속하지 않는 한 상속세를 낼 가능성은 거의 없는 셈이다.

하지만 이 ‘1.5% 부유층’이 차지하는 상속재산은 전체 상속재산의 절반을 넘는다.

상속세가 부과된 피상속인 4천340명의 상속재산은 10조1천83억원으로 전체 상속재산 19조8천51억원의 51%에 달했다. 이에 따라 나머지 28만4천163명이 가져간 상속재산은 전체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1.5% 부유층’의 상속재산은 부동산이 압도적이었다.

토지가 41%로 가장 많고, 건물이 27%로 뒤를 이어 부동산이 전체 상속재산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금융자산(예금ㆍ보험)이 16%, 유가증권(주식ㆍ채권)이 11%였다.

2005년에 비해 가장 비중이 커진 것은 아파트, 빌딩, 상가 등의 건물로 2005년 14%에서 2009년 27%로 비중이 급격히 높아졌다. 강남 부동산 가격의 급등 등으로 상속재산의 가치가 더 커진 것이다.

상속세 부담은 부유층 집중 현상이 더 심했다. 상속재산이 100억원을 넘는 피상속인은 105명뿐이지만, 이들이 부담한 상속세는 2009년 전체 상속세(1조5천464억원)의 50%에 달했다.

이는 상속재산이 많을수록 세율이 높아지는 상속세의 누진적 성격 때문이다. 30억원을 넘는 재산을 상속받으면 상속세율이 50%에 달한다.

국세청 관계자는 “상속재산을 부유층이 많이 차지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들이 그만큼 세금을 많이 내는 것 또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소득 양극화에 이어 상속재산마저 양극화되는 ‘부의 대물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재벌 계열사의 일감 몰아주기 등 편법적인 증여ㆍ상속을 철저히 차단해 공정과세를 실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