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우리 인수 여론반전 ‘안간힘’

산은, 우리 인수 여론반전 ‘안간힘’

입력 2011-05-27 00:00
업데이트 2011-05-27 1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은금융지주가 우리금융지주 인수와 관련한 내ㆍ외부의 부정적인 인식을 돌리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임직원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구조조정 가능성을 일축하며 동요를 막는 한편 대외 인사들에게는 산은 뿐 아니라 국가 경제를 위해서 필요하다며 설득에 나서고 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부행장급 임원들은 이번 주 산업은행 전 지점을 돌며 우리금융 인수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강만수 회장이 최근 직원 6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우리금융 인수와 관련한 내부 설명회를 열었지만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강 회장은 ‘아시아의 개척자 은행(Pioneer Bank of Asia)’라는 주제의 3시간여에 걸친 설명회에서 직원이 우리금융 인수 후 구조조정 가능성에 대해 묻자 “산업은행과 우리은행을 합병하지 않고 ‘1지주-2은행’ 체제로 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 금융계에도 삼성전자와 같은 글로벌 기업이 나와야 한다”, “산은이 수신 기반을 갖추려면 우리금융 인수가 필요하다”는 등의 주장을 펴며 직원들에게 동의를 구했다.

우리금융 노동조합과 연대해 반대투쟁을 펼치고 있는 노조 관계자들과도 만나 필요성을 피력했다.

산은지주 임원들은 정관계 등 외부인사들을 만나 국가적으로 금융권의 삼성전자에 해당하는 ‘챔피언뱅크’가 필요하다는 논지를 전파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국회 정무위 내에 부정적인 반응이 우세해 산은금융은 조바심을 내고 있다.

민주당은 “산은금융과 우리금융 합병은 초대형 관치금융을 만드는 정치적 매각 행위”라며 반발했고 한나라당 정무위원들 간에도 부정적 기류가 형성돼 있다.

전문가들과 잇따라 접촉하고 최근 한국금융연구원이 주최한 금융산업 재편 관련 토론회에도 큰 관심을 기울이는 등 학계가 산은금융과 우리금융의 시너지 효과를 조명하도록 하는 데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산은금융은 특히 금융지주가 다른 금융지주를 인수할 때 최소 매입지분 요건을 95% 이상으로 규정한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이 개정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시행령이 개정되지 않으면 지분을 95% 이상 사들이기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산은지주의 우리금융 인수는 사실상 물 건너간 일이 되기 때문이다.

산은금융은 다음달 29일 우리금융 인수의향서(LOI) 제출 마감 전까지 직원들의 의견 수렴과 외부 인사 접촉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