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첫 800조… 소비위축 시작됐다

가계빚 첫 800조… 소비위축 시작됐다

입력 2011-05-26 00:00
업데이트 2011-05-26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동기보다 8.4% 늘어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 가계빚이 올 1분기 800조원을 돌파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내 경제연구기관들은 이 같은 천문학적인 가계빚이 이미 소비를 위축시키는 단계에 진입했다고 진단했다.

소비 위축은 금리상승기를 맞아 가계의 채무 부담과 연체율을 증가시켜 금융기관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 가계빚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저축은행 사태와 비교할 수 없는 ‘가계부채발(發) 금융위기’가 올 수도 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1년 1분기 가계신용’에 따르면 금융기관의 가계 대출과 자동차 할부 등 외상 구매를 뜻하는 판매신용을 합한 가계빚 잔액이 3월 말 현재 801조 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795조 4000억원) 대비 6조원가량 늘어난 규모다.

연초 보너스 지급 등 계절적 요인으로 가계빚 증가폭은 소폭이었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8.4% 증가한 것이다. 문제는 우리나라 가계빚이 실질적으로 이보다 훨씬 많으며,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데 있다. 치킨집 등 소규모 자영업자와 민간비영리단체의 부채까지 포함하는 가계빚(자금순환통계의 개인부채)은 지난해 말 937조 3000억원으로 집계됐으며, 현재는 1000조원에 근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개인소득 중 소비와 저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가처분소득으로 빚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비율도 지난해 146%를 기록했다.

●연체율 증가 → 금융기관 부실

영국(2009년 160%), 호주(155%), 스페인(143%) 등과 더불어 세계 최고 수준이다. 우리나라가 더 심각한 것은 이 비율이 다른 나라와 달리 꺾이지 않고 계속 오르는 데 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가계부채의 잠재적 폭발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 것도 이런 점을 감안한 것이다. 가계빚에 짓눌린 소비 위축은 ‘채무부담 상승→연체율 증가→담보가치 하락→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지는 가계부채발(發) 금융위기의 사실상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은행 측은 “가계부채가 소비와 성장 등 실물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계에 들어섰다.”면서 “서둘러 가계부채의 축소 조정에 들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1-05-26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