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임원 평균 52.5세…매년 한살 ‘뚝뚝’

대기업 임원 평균 52.5세…매년 한살 ‘뚝뚝’

입력 2011-04-25 00:00
업데이트 2011-04-25 08: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장사協, 2006~2010년 100개사 분석

대기업 임원의 평균 연령이 50대 초반으로 떨어지는 등 연령파괴 현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해마다 한 살가량 젊어지면서 2006년 56세에서 지난해 52세로 낮아졌다. 이런 추세가 유지된다면 2~3년내 ‘50세 벽’도 깨질 수 있다.

25일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자산 순위 100대 유가증권시장 상장사(금융업 제외)를 대상으로 임원(사외이사 제외) 나이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평균 연령은 52.5세로 나타났다.

2006년 말 55.9세에서 2007년 말 55.2세, 2008년 말 54.4세, 2009년 말 53.3세 등으로 0.7~1.1세씩 낮아졌다.

사업연도별 상위 100개사 사업보고서를 조사한 것으로 작년 말 대상 임원은 6천267명이었다.

최고경영자(CEO)보다는 집행임원급에서 ‘연령 파괴’가 더욱 뚜렷했다.

사장ㆍ부사장이 다수 포함된 등기임원은 2006년 말 60.5세에서 지난해 말 58.3세로 2.2세, 상무이사급이 많은 비등기 집행임원은 55.4세에서 52.1세로 3.3세 젊어졌다.

재벌 총수들도 예외는 아니다. 5년 새 명예회장은 79.1세에서 73.9세로, 회장은 67.7세에서 64.8세로 젊어졌다.

직장인이 올라갈 수 있는 최고의 직책이자 회장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대표이사 부회장’은 평균 60.5세로 조사됐다. 최지성(60)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이 대표적이다.

기업분석 업체인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젊어지는 추세는 확실하고 최근 들어 평균 나이가 떨어지는 속도가 매년 한 살 안팎으로 더욱 빨라졌다”고 말했다.

특히 40대 임원의 비중이 7.99%에서 26.01%로 3배 이상으로 커졌다. 60대 이상 임원이 20.18%에서 6.30%로 급격히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