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 재무약정 제외

현대그룹 재무약정 제외

입력 2011-04-07 00:00
업데이트 2011-04-07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재무구조 개선 대상이었지만 채권단과 약정 체결을 미뤄왔던 현대그룹이 올해에는 아예 재무평가 대상에서 제외돼 논란이 일고 있다. 금융권은 재무상황이 악화돼도 버티면 된다는 식의 전례로 남을까 우려하고 있다. 최근 일부 대기업들이 계열사 부실을 ‘꼬리자르기’ 식으로 금융권에 떠넘기는 사례가 있어 우려는 더욱 깊어지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대그룹은 2009년 실적 부진 등으로 재무 상황이 악화돼 지난해 금융감독원이 선정한 주채무계열(대기업그룹) 41곳에 포함된 뒤 채권단의 평가를 거쳐 재무구조개선 대상이 됐다.

주채무계열이란 금융권 총 신용공여액의 0.1% 이상을 차지하는 그룹을 말한다. 금감원은 금융기관의 여신건전성을 관리하기 위해 빚이 많은 그룹들을 해마다 주채무계열로 선정하고 있다. 매년 4월 채권단은 주채무계열의 재무구조를 평가해 문제가 있는 기업과 약정(MOU)을 맺고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일부 부실이 그룹 전체로 전이되는 것을 미리 막기 위한 조치다. 약정을 맺은 주채무계열은 자산 매각 등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이행 실적을 주기적으로 채권단에 보고해야 한다.

하지만 현대그룹은 채권단과 갈등을 빚으며 현재까지 약정 체결을 하지 않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현대그룹은 지난해 은행권 여신을 대거 상환해 2011년도 주채무계열로 선정된 37곳에 포함되지 않았다. 올해에는 채권단의 평가를 받지 않게 된 셈이다.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을 비롯한 채권단 내에서는 현대그룹이 지난해 약정 체결 대상이었기 때문에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현대그룹을 그대로 내버려 두면 약정을 체결한 다른 주채무계열과의 형평성에도 맞지 않고, 버티면 된다는 인식이 퍼져 대기업 그룹들이 구조조정을 게을리할 개연성도 있기 때문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현대그룹에 대해서는 이미 개별 제재하는 방향으로 원칙을 정했지만 어떻게 마무리할지 정해진 바가 없다.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면서도 “금융기관 쪽 여신을 줄여 주채무계열에서 빠졌다고 해도 회사가 회복됐는지 여부는 다른 문제”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약정을 맺은 이듬해에 주채무계열에서 제외됐지만, 약정 효력이 지속돼 재무개선 노력을 이어간 과거 사례도 있다.”고 덧붙였다.

주채권은행들은 현대그룹 문제와 별도로 올해 주채무계열에 대한 재무구조 평가 기준을 강화하는 한편, 약정을 체결한 곳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홍지민·홍희경기자 icarus@seoul.co.kr
2011-04-07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