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호족일까 노비일까?…부동산 계급표 등장

나는 호족일까 노비일까?…부동산 계급표 등장

입력 2011-02-12 00:00
업데이트 2011-02-12 15: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땅값에 따라 지역 서열을 매겨놓은 ’현대판 계급표’가 등장,인터넷을 벌겋게 달구고 있다.

화제의 글은 지난 11일 디시인사이드 부동산갤러리에 올라온 ‘2011 수도권 계급표’. 지역의 땅값 순서대로 거주자의 신분계급을 매겨 ‘황족’ ‘왕족’ ‘귀족’ ‘호족’ ‘중인’ ‘평민’ ‘노비’ 등 7개 계급으로 나눴다. 그래픽까지 그려넣어 웃고 넘겨야 할지, 쓴맛을 다셔야 할지 판단하기도 쉽지않다.
이미지 확대


강남구는 3.3㎡당 3000만원 이상으로 가장 비싸 ‘황족’으로 분류됐다.이어 2200만원 이상인 경기 과천시와 송파·서초·용산구는 ‘왕족’이 됐다. 강동·양천·광진·성남시 분당구는 1700만원 이상으로 ‘중앙귀족’에, 1500만~1700만원인 중구·마포·영등포·성동·종로·동작구 등은 ‘지방호족’에 들어갔다. 이 표는 1400만원과 1500만원 사이에 ‘넘을 수 없는 4차원의 벽’을 표시해 두었다.

강서·관악·동대문·성남 수정구·성북 등은 1200만~1400만원으로 ‘중인’ 계급에, 1100만~1200만원인 노원·구로·은평·강북·중랑·고양 일산동구는 ‘평민’에 포함됐다. 이외 시군구는 ‘가축’으로 표현했다.

반응은 뜨겁다.한 네티즌은 ”내가 어느 계급에 해당하는지 찾아볼 수 있어 재미있었다. “면서 “같은 수도권이라도 얼마나 땅값의 격차가 심한지도 실감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 “마음에 안 들지만 자꾸 보게 된다.”, “잘 사는 것은 아니지만 왕족이라니 기분이 나쁘지는 않다.”는 네티즌들도 있었다.

비판하는 의견도 쏟아졌다. 다른 네티즌은 “맨 마지막은 계급도 아닌 가축으로 분류해 놓았는데 평등사회에서 땅값에 따라 사람 취급도 못 받는 것을 말하는 것 같아 매우 언짢다.”면서 “사는 곳에 따라 계급이 나뉘는 세태를 보니 씁쓸하다.”고 뒷맛을 다셨다. 또 다른 네티즌은 “대학도 서열을 매기더니 이제 사는 동네까지 나누느냐.”면서 “한국사회의 고질병인 편가르기가 또 시작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외에도 “부동산 대책 실패가 이런 풍자까지 만들었다.”며 정부의 반성을 촉구하는 의견도 있었다.

맹수열기자 gun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