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경력사원 스카우트 전쟁

건설업계 경력사원 스카우트 전쟁

입력 2011-02-12 00:00
업데이트 2011-02-12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설업계에서 인력 확보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대형 건설사들이 앞다퉈 해외사업 비중을 늘리면서 플랜트와 발전분야, 환경분야의 인력 스카우트 열풍이 불고 있다. 반면 주택·토목분야 인재는 과거와 달리 다소 홀대받는 상황이다.

이미지 확대
대형 업체들이 중소업체의 인력을 끌어들이는 가운데 일감 부족에 시달리는 중소 건설사들은 오히려 인력 구조조정을 걱정,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1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형 건설사들이 새해 벽두부터 경력직 채용에 나섰지만 적절한 인력을 찾지 못해 애를 태우고 있다.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환경분야와 발전, 플랜트 관련 인력의 몸값은 상한가다.

바뀐 인력시장의 분위기는 지난해 말 건설사들이 해외사업 위주로 조직을 개편하면서 어느 정도 예고됐다.

현재 경력직 채용을 진행 중인 곳은 현대건설,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GS건설, 삼성물산, 현대엠코, 극동건설, 코오롱건설 등이다. 현대건설은 예외적으로 기계, 화공, 전기, 건축, 토목, 조경, 설비 등 거의 전 분야에 걸쳐 인력 수급에 나섰다.

현대산업개발, 두산중공업, 롯데건설, 한화건설 등은 전문인력 수시 채용에 나설 예정이다.

대형 건설사들이 플랜트 등 해외건설 전문 인력을 탐내면서 인력 불균형은 심화되고 있다. 대형사들이 고액연봉을 제시, 중견사들의 전문인력 이탈 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지난해 말에는 경쟁사 간 인력 빼가기가 문제가 되기도 했다.

한 대형업체 관계자는 “채용 규모를 정확히 밝힐 수 없지만 경력사원 확보가 갈수록 어려워져 필요 인원보다 채용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면 같은 전문인력이라 하더라도 심한 불황을 겪는 국내 주택·토목부문 인력은 몸값이 크게 떨어졌다. 정보업체인 건설워커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사의 채용공고는 플랜트 부문이 전년 대비 22%, 주택·건축 부문은 2.4% 증가했다. 토목부문은 오히려 0.8% 줄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2-12 1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