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금리 하락… 주택시장 악재로

채권금리 하락… 주택시장 악재로

입력 2010-11-17 00:00
업데이트 2010-11-17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시장 반응

16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담담했다. 오히려 채권금리가 크게 떨어지는 등 시장에 정책금리가 잘 먹히지 않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될 정도였다. 원·달러 환율도 사흘 만에 하락했지만 하락폭은 2.40원으로 미미했다. 코스피지수는 14.68포인트(0.77%) 내린 1899.13으로 마감됐다.

금리인상 영향보다 대외적 리스크로 외국인의 매도세가 이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시장에서는 금리인상 시기가 늦어 인상분이 반영된 데다 연내 추가로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일부는 금융시장에 여파가 적은 것을 볼 때 정책금리가 시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2.40원 내린 1129.50원에 거래를 마쳤다. 금리인상이 환율에 미친 영향이 크지 않았던 이유는 뒤늦은 금리인상보다 중국 금리인상과 아일랜드 재정 위기 등 국제적 리스크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양기인 대우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기본적으로 이번 금리인상은 선제적 의미보다 우리나라 경제 상황이 탄탄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금융시장이 통상적이지 않은 반응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당분간 금융시장은 금리인상보다 국제적 리스크에 더 큰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주택시장에서는 이번 금리인상이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금리인상 폭이 0.25% 포인트로 크지 않지만 대출받아 집을 사려는 수요자들에게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0-11-17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