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 값 폭등 ‘4대강 사업 탓?’ 공방 가열

채소 값 폭등 ‘4대강 사업 탓?’ 공방 가열

입력 2010-09-29 00:00
업데이트 2010-09-29 16: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들어 배추 등 채소 가격이 폭등하는 원인을 놓고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야권 등에선 4대강 사업에 따른 경작지 감소를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고,정부는 이상기온이 폭등의 주된 배경이라며 4대강 사업이 채소 값 폭등을 가져왔다는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

 강창일 민주당 의원은 29일 비대위 회의에서 “채소값 폭등으로 김치 없는 대한민국,김치 못 먹는 대한민국이 되지 않게 4대강 사업을 취소하고 채소 재배면적을 늘려 (채소) 물가를 잡아달라”고 요구했다.

 박병석 의원도 “배추 한 포기에 1만5천원,무 하나에 4천원은 감히 상상도 못하던 가격”이라며 “날씨 탓도 있지만 4대강 사업에 따른 채소재배 면적의 급감이 큰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농민단체에 따르면 4대강 사업으로 채소 재배 면적의 20%,국토해양부 자료에 따르더라도 16%가 줄었다는 게 박 의원의 설명이다.

 민노당도 이날 ‘채소값 폭등의 진실’이라는 자료를 내고 4대강 사업으로 경작지 자체가 줄고 있어 아무리 날씨가 좋아져도 채소값이 내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노당은 “팔당 유기농단지 18.8㏊에서는 수도권 친환경 농법 채소의 60% 이상,수도권 시설 채소의 70%를 공급하고,낙동강 삼락둔치는 부산의 배추·상추 소요량의 30%를 재배하고 있으며 금강 부여보 근처는 전국 방울토마토의 10%,영산강 둔치는 전국 미나리의 60%를 생산한다”고 밝혔다.

 농림수산식품부,국토해양부 등 관계부처는 이날 일제히 이를 반박하는 보도자료나 해명자료를 내놨다.

 농식품부는 “봄철 저온,여름철 폭염,잦은 강우 등 이상 기온에 따른 작물 생육 불량,병충해 피해 등이 채소값 급등의 근본 원인”이라며 “현재 출하되는 무,배추는 4대강 유역과 전혀 무관한 강원 정선·태백 등 고랭지에서 출하되는 물량”이라고 반박했다.

 배추는 여름철 이상 고온으로 병들거나 상품성이 떨어져 생산량이 15만1천t으로 예년(25만2천t)에 비해 40%가량 줄었고 무,마늘,대파 등 거의 모든 채소류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감소했다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7월 행정조사에 따르면 4대강 유역 둔치 내 채소 재배면적은 3천662㏊로,지난해 전체 채소 재배면적(26만2천995㏊)의 1.4%에 불과해 이들 지역에서의 경작 중단이 채소값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설명했다.

 국토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도 “4대강 사업에 편입되는 경작지는 6천734㏊로,전체 농경지(175만8천795㏊)의 0.38%에 불과하고 경작 작물도 벼,보리,채소(토마토,배추,무,당근,상추),과일(수박,참외) 등으로 다양해 특정 채소 품목의 가격 폭등을 4대강 사업 탓으로 돌리는 것은 터무니없는 주장”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