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신형쏘나타 자발적 리콜 왜

현대 신형쏘나타 자발적 리콜 왜

입력 2010-09-28 00:00
업데이트 2010-09-28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요타 재판 안돼”… 빌미 사전차단

미국시장에서 판매된 현대자동차의 신형 쏘나타에 대한 자발적 리콜을 두고 말들이 적지 않다. 리콜 대수가 13만 9500여대로 상당한 데다 현대차의 간판 모델인 쏘나타여서 그런지 국내외 관심이 예상 밖으로 뜨겁다. 일본 도요타에 이어 미국시장에서 승승장구하는 현대기아차에 대한 미국 ‘빅3’의 본격 견제가 시작됐다는 얘기마저 나온다.

하지만 27일 현대차가 밝힌 쏘나타의 리콜 사연은 이렇다.

올 상반기 미국의 한 고객이 쏘울의 조향장치 결함 여부를 조사해 달라고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민원을 제기했다. 당시 NHTSA는 도요타 리콜 민원을 수년간 묵살했다가 도요타와 함께 미국 국민들로부터 적지 않은 비판에 시달렸다.

그러다 보니 NHTSA는 접수된 쏘울 민원을 심도있게 다뤘다. 소비자 민원 1건으로 바로 조사에 착수하는 것은 좀처럼 없는 일이어서 현대기아차도 ‘리콜 파문’에 휩싸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NHTSA는 첫 조사 단계인 정비이력 검사를 진행하면서 현대차 신형 쏘나타에도 조향장치 결함에 대한 2건의 민원 접수를 확인했다. 당시 현대차는 쏘나타 고객 2명이 현대차 대리점에 민원을 제기해 2대 모두 수리를 끝낸 상태였다고 밝혔다.

원인은 조향장치 부품이 아닌 부품 조립상의 취급 부주의로 판정이 났다. 그럼에도 현대차는 NHTSA의 조사 결과를 기다리기 전에 먼저 자발적 리콜에 나섰다. 반면 쏘울은 제품의 문제가 아닌 것으로 잠정 결론내렸다. 사실상 쏘울로 시작된 민원이 ‘쏘나타 리콜’로 불똥이 튄 셈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리콜을 하느냐 마느냐로) 시간을 끌어봐야 좋을 것이 없다는 것이 회사의 판단이었다.”면서 “아예 빌미를 제공하지 않는 선제적인 조치로 브랜드 신뢰를 지키는 것이 궁극적으로 더 나을 것으로 봤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발적 리콜을 밝힌 이후 미국 고객들의 반응은 좋다.”면서 “오히려 국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더 높은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0-09-28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