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청년고용률 40.5% 사상최저

작년 청년고용률 40.5% 사상최저

입력 2010-08-28 00:00
업데이트 2010-08-28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년층(15~29세) 고용률이 지난해 사상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우리나라 청년 고용률이 40.5%로 1982년 경제활동인구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낮았다고 27일 밝혔다. 극심한 취업대란을 겪었던 1998년 외환위기 때(40.6%)보다도 낮은 것이다.

이미지 확대
이는 우리나라 청년 1000명 중 일자리를 갖고 있는 사람이 405명이라는 뜻으로 역대 최고치였던 1995년(46.4%)과 비교하면 1000명당 60명가량 취업자가 줄었다는 얘기다. 특히 직장 새내기 연령대인 25~29세의 고용률은 1995년 34.6%에서 지난해 22.9%로 떨어졌다.

청년 남성의 고용사정이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악화됐다. 여성 고용률은 1999년 37.5%에서 지난해 41.8%로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 남성 고용률은 44.0%에서 39.0%로 떨어졌다.

특히 고졸 이하, 25세 미만 남성은 고용률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고졸 이하 남성의 경우 같은 기간 36.8%에서 22.5%로 낮아졌다.

취업의사와 능력이 있는데도 전공·경력 등에 맞는 일자리가 없어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청년층은 지난해 9만 6000명으로 전년보다 26.3% 늘었다.

고용부는 청년층이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 감소, 청년층 감소를 포함한 인구구성 변화, 고(高)학력화 등에 따른 노동의 수요와 공급 불일치 때문에 장기적인 청년층 고용부진 현상이 나타난 것이라고 진단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대학 구조조정, 산업 수요에 맞는 구직자 능력개발 지원 등을 통해 부문별 과소공급 및 초과 공급을 해소해야 청년층 고용률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면서 “고용 수요 측면에서는 고학력자에게 맞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0-08-28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