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피털사 욕먹는 이유 있네?

캐피털사 욕먹는 이유 있네?

입력 2010-08-04 00:00
업데이트 2010-08-04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동안 폭리를 취해 왔다는 증거다.” “역(逆)마진을 감수하면서 내린 결정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달 22일 대기업 캐피털사들의 고금리를 지적한 이후 관련 업체들의 대출금리 인하가 잇따르고 있다. 업체별로 5~7%포인트씩 내렸다. 그러나 업계의 발빠른 행보에 찬사보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대통령 한마디에 금세 금리를 내릴 정도라면 그동안 폭리를 취해 온 게 사실 아니냐는 것이다. 물론 캐피털사들은 향후 역마진 가능성을 언급하며 억울하다고 하소연한다.

그러나 3일 금융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해 보면 “장사꾼은 절대 손해보는 장사를 하지 않는다.”는 말에 훨씬 더 무게가 쏠린다. 특히 영세업체보다 자금 조달이 유리한 은행계와 대기업 계열 업체들은 금리 인하 여력이 충분했다는 평이다.

하나캐피탈이 지난달 28일 최고금리를 36%에서 29%로 7%포인트 낮춘 데 이어 현대캐피탈과 롯데캐피탈도 이달 1일부터 각각 39.99%에서 34.99%와 34.90%로 인하했다.

신속한 금리 인하가 가능했던 배경으로는 낮은 조달금리와 우량고객 기반이 꼽힌다. 은행계와 대기업 계열은 다른 업체보다 신용등급이 1~2등급 높아 낮은 금리로 회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일반 업체의 조달금리는 5~7%선이지만, 신용등급이 AA+로 업계에서 가장 높은 현대캐피탈은 이보다 최대 1%포인트 싸게 자금을 빌려온다.

또 현대와 롯데는 대출금과 이자를 제때 잘 갚는 우량 고객이 많아 타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1990년대 중반부터 캐피털 시장에 진출한 데다 ‘캡티브 마켓(그룹 내부 시장)’의 이점이 있는 덕분이다. 안성학 하나금융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자동차 할부시장의 강자인 현대캐피탈은 교차판매를 통해 신용대출 고객을 늘렸고 롯데캐피탈도 카드사, 백화점 등 계열사 고객 정보기반을 갖고 있어 신용도가 높은 고객을 유치하고 있다.”면서 “역마진을 보면서까지 무리하게 금리를 낮추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소 캐피털사의 한 임원은 “일반 업체의 신용대출 마진은 4~5% 정도지만 신용대출 규모가 5000억원이 넘는 롯데 등 대형 캐피털의 마진은 5%를 웃돌기 때문에 금리를 낮춰도 부담이 크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기업 캐피털사들은 폭리 부분에 오해가 있다는 입장이다.

롯데캐피탈 관계자는 “2008년 리먼브러더스 사태 때 34~39%대 금리를 적용받는 대출자들의 연체율이 높아 적자를 봤지만 금리를 올리지 않았다.”면서 “올해 경기가 회복되면서 신규 대출이 늘어나 마진이 좋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하반기 금리 인상 기조가 계속되면 돈을 못 갚는 경우가 늘어나고 그에 따른 손해는 회사가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고 말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0-08-04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