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화 ‘혼돈의 사춘기’···위안화 급부상”

“유로화 ‘혼돈의 사춘기’···위안화 급부상”

입력 2010-05-11 00:00
업데이트 2010-05-11 1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유럽 국가의 재정위기로 유럽경제통화동맹(EMU) 체제가 무너지지는 않겠지만,세계 경제에서 유로화의 입지가 줄어들고 대신 중국 위안화가 급부상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은 11일 ‘유로화의 미래’란 보고서에서 “유로화가 지난 10년간의 ‘행복한 유년기’를 마감하고 많은 문제로 고민해야 하는 ‘혼돈의 사춘기’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EMU 체제가 ‘하나의 유럽’이란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유럽 각국이 오랫동안 노력해 얻은 산물인 만큼 쉽게 붕괴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남유럽 국가의 재정 적자 문제가 유럽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으나 그동안 잠복해 있던 문제점이 드러나 이를 치유할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 장기적으로 성장 잠재력을 높이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유럽연합(EU)이 일단 구제금융으로 시간을 벌면서 유럽통화기금(EMF) 설립이나 공동 유로채권 발행,재정규율의 엄격한 시행,회원국의 채무 재조정 제도 도입,통합감독기구 설립 등 EMU 체제의 보완에 나설 것으로 한은은 전망했다.

 하지만,이번 그리스 사태로 유로화 환율이 급락하고 유로화의 안정성이 낮아진 것은 물론 EU 역내 금융시스템이 불안에 빠지면서 유로화의 위상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 해외조사실 박진호 차장은 “유로화가 미국 달러화를 대신해 기축통화로 부상할 가능성은 낮아졌다.”라며 “이를 계기로 중국이 위안화의 국제화를 더욱 빠르게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박 차장은 “EMU 체제의 보안 방안들은 각국의 이해관계가 걸려 있어 실제 제도화되기까지 난항이 예상된다.”라며 “국제투기자본이 유로화의 약세에 베팅하고 있고 이런 추세는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