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건 왜 그런가요]우유업체 군납에 목매는 이유

[그건 왜 그런가요]우유업체 군납에 목매는 이유

입력 2010-05-08 00:00
업데이트 2010-05-08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는 우유 해결… 손실 줄여줘

군대에 다녀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침 식사와 함께 나오던 흰 우유(시유·市乳)에 대한 추억이 있을 텐데요. 장병들에게 시유가 제공되기 시작한 건 1983년부터입니다.

이미지 확대
당시 국방부는 “영세 낙농가를 육성한다.”는 취지로 농협과 수의계약을 맺고 서울우유와 춘천철원축협, 대전충남우유 등 7개 협동조합에서 우유를 납품받았습니다. 하지만 다른 유가공 업체들은 이런 계약이 특혜라며 헌법소원까지 내고 반발했습니다. 결국 정부는 지난달 말 이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군납우유시장에도 경쟁체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사실 군납우유시장은 전체 시유시장(166만 2000t)의 2.5%(4만 1000t)에 불과한 작은 시장입니다. 납품 가격도 250㎖ 한 팩당 344원밖에 되지 않아 생산원가 정도입니다. 시중 가격(200㎖ 한 팩당 600~700원)의 절반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우유업계는 왜 이익이 나지 않는 군납우유 수주에 그토록 목을 매는 것일까요?

답은 국내 우유업계의 특수성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우유 회사가 시유를 만들 때는 반드시 남는 잉여원유가 생기게 되는데요. 이게 주말이나 방학처럼 우유 소비가 줄어드는 때는 생산원유의 50%가 넘기도 합니다. 남는 원유는 전지분유나 탈지분유 등을 만드는 데 쓰입니다.

하지만 분유는 낙농 여건이 우수한 외국산 제품이 훨씬 저렴합니다. 그렇다 보니 국내 업계도 수입산과 가격을 맞추기 위해 원가의 절반 수준인 1㎏에 1만원 안팎에 판매합니다. 남는 원유를 그냥 버리는 것보다는 분유로 만들어 파는 게 손해를 절반 정도로 줄일 수 있으니 우유 회사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손해를 감수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유회사가 군납우유를 수주하면 그 분량만큼 분유를 만들지 않아도 돼 분유 생산 적자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업체가 군납우유 100억원어치를 수주하게 되면 분유 판매로 발생하는 50억원의 손해를 상쇄할 수 있는 셈이지요.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0-05-08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